컴퓨터나 티브이 등 각 전기기구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면 전기가 절약되는 것은 모두 알고 있지만 일일히 전원까지 끄는 것이 귀찮아서 제대로 절전이 안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방 내의 모든 콘센트와 연결된 통합 전기스위치를 전등 스위치 부근에 설치하여 놓고 방에 사람이 없게 될 때마다 전등 끄면서 함께 통합스위치를 끄도록 하면 절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사무실의 경우에는 사무실 내 모든 전기기구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통합스위치를 전등 스위치 옆에 설치하여 놓고 퇴근하면서 전등을 끌 때 그 통합스위치도 함께 끄도록하면 전기가 많이 절약될 것으로 생각됩니다(사무실의 컴퓨터와 그에 연결된 프린터 등은 밤새 사용하지도 않음에도 계속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 전력 낭비가 심한데, 매일 퇴근하면서 일일이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번거로와 그냥 퇴근하는 것이 대부분의 사무실 실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만 가정집의 냉장고와 같이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람이 없을 때에도 항시 켜 놓을 필요가 있는 전기기구는 통합스위치로 한꺼번에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만, 이러한 문제는 그 방에 설치된 콘센트의 위, 아래 등으로 나누어 통합스위치를 2개 이상 설치하고, 항상 전원을 연결할 필요성이 있는 전기기구와 아닌 전기기구를 콘센트 별로 나누어 연결하면 별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항상 전원이 연결될 필요가 있는 전기기구가 연결되는 콘센트는 별도로 구분하여 빨간색으로 표시한다는 방법으로).
새로 건축되는 건물의 경우에는 통합스위치 설치하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도 비용이 많이 들지도 않을 것 같고, 이미 사용 중인 건물의 경우에도 절약되는 전기료 등에 비하면 통합스위치 설치비가 별로 낭비일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