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진정한 녹색성장을 위한 똥타령!
환경문제를 이해하는, 해결하는 키워드
『물걱정 똥타령』은 수세식 변기가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되면서 빚어지는 물 부족 사태에 대하여 고찰한 환경서이다. 문화인류학자이자 생태인류학자인 저자는 똥이야말로 자원의 순환, 생명의 영원한 순환을 실현하는 자원이라고 말한다. 또한 똥은 인간이 저지르고 있는 생명 순환의 역류 현상을 보여 주는 가장 극적인 사례일 뿐 아니라, 앞으로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라고 주장한다.
양변기에서 단추를 누르기만 하면 내려가는 똥은 상당한 양의 물과 에너지를 소모한다. 보통 똥 한 번 누고 내리는 물이 절수형은 7리터이지만 보통은 13리터로, 하루에 한 번씩만 써도 네 식구면 50리터가 나간다고 한다. 게다가 똥은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속에서 분해되지 못한다. 그대로 공해가 된다. 하지만 흙 속의 미생물들은 똥을 분해한다. 이것이 상생이다. 그리고 이것이 똥의 오행이다.
저자가 똥에 대해 특별히 애착을 갖게 된 데에는 그의 외갓집이 제주도인 영향이 크다고 한다. 화장실이 곧 돼지우리인 제주도의 독특한 풍속을 보면서 어릴 때부터 자연스레 사람 똥이 돼지 식량이 되고, 돼지 똥은 식물의 양분이 되고, 그 식물은 알곡을 만들어 사람의 밥이 되는 생태계의 순환을 보고 자란 것이다. 그의 똥에 대한 철학은 자연을 뒤로 한 채 걸어온 우리 사회의 시스템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저자소개
저자 : 전경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인류학자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1982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귀국하여 1982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생태인류학과 문화이론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문화의 이해’ ‘인류학과의 만남’ ‘한국 인류학 백년’ ‘통과의례’ ‘백살의 문화인류학’ ‘세계 신화의 이해’ 등 정통 문화인류학뿐 아니라 ‘환경친화의 인류학’ 등과 같은 생태인류학, ‘한국문화론’ ‘관광과 문화’ ‘문화시대의 문화학’ ‘까자흐스딴의 고려인’ ‘한국 박물관의 어제와 내일’ 등과 같은 문화사회학 분야까지 다방면에 걸친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Source : 네이버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