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코리아
대성그룹
  • Home
  • 뉴스
    • 국내뉴스
    • 해외뉴스
    • 에너지 정책
    • 오피니언
  • 에너지정보
    • 에너지 상식
      • 에너지란?
      • 화석에너지
      • 원자력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 지구온난화
    • 국가자료
    • 단어사전
  • 정보마당
    • 교육기관
    • 에너지기업
      • 가스
      • 석유
      • 신재생
    • 인물소개
    • 정부기관
    • 책소개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사진
    • 동영상
    • 함께해요
  • 컨퍼런스
    • 스케줄
    • 참여후기
      • 2012 그린에너지엑스포
      • 201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 2013 그린에너지전
  • 대성투데이
    • CEO
    • 뉴스
    • 사진 & 동영상
  • 로그인
  • 처음이세요? 회원가입
view all
  • 뉴스
    • 국내뉴스
    • 해외뉴스
    • 에너지 정책
    • 오피니언
  • 에너지정보
    • 에너지 상식
      • 에너지란?
      • 화석에너지
      • 원자력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 지구온난화
    • 국가자료
    • 단어사전
  • 정보마당
    • 교육기관
    • 에너지기업
      • 가스
      • 석유
      • 신재생
    • 인물소개
    • 정부기관
    • 책소개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사진
    • 동영상
    • 함께해요
  • 컨퍼런스
    • 스케줄
    • 참여후기
      • 2012 그린에너지엑스포
      • 201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 2013 그린에너지전
  • 대성투데이
    • CEO
    • 뉴스
    • 사진 & 동영상
인기검색어 TOP10
  1. register
  2. thietkenoingoaithat2018.blogspot.com
  3. liangemstone.com
  4. offshore wind
  5. seoul
  6. 592
  7. wood pellets korea
  8. www.vapormark.cn
  9. foxnews.co.uk
  10. www.brostecph.cn
  1. register
  2. thietkenoingoaithat2018.blogspot.com
  3. liangemstone.com
  4. offshore wind
  5. seoul
  6. 592
  7. wood pellets korea
  8. www.vapormark.cn
  9. foxnews.co.uk
  10. www.brostecph.cn

close X

여름 전력난에 가스냉방 주목

energykorea | 2013.07.16 | 뉴스 > 국내뉴스 | 조회수: 681

전력피크 억제수단으로 자리잡아
지난해 하절기 전력대체량 190만kW

▲ 가스냉방 설비.

원자력발전소 가동 중단 사태로 올여름 최악의 전력난이 예상되는 가운데 효율적 대안으로 가스냉방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및 도시가스업계에 따르면 가스냉방은 전기 대신 가스를 열원으로 냉난방을 하는 것으로 여름철에는 냉방전력수요를 가스로 대체하고 겨울철에도 난방전력수요를 가스로 대체해 최대전력을 완화함으로써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냉방전력수요는 1,766만kW로 하절기 최대전력의 23.7%를 차지했다. 지난해 하절기 가스냉방 전력대체량은 190만kW로 원자력 2기 발전량의 최대전력을 대체했다.

일본의 와세다대 타카구치 요우진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GHP 도입건물의 전력소비량은 EHP보다 연간 25.7%, 8월에는 33.4%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상업용 에너지 소비구조를 보면 2007년 이후 도시가스 소비량은 정체돼 있는 반면 전력 소비량은 급증했다.

기후와 온도가 비슷한 일본의 경우 가스냉방수요는 2011년 23.3%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 9.7% 수준이다.

냉방 수요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가스공사의 한 관계자는 “가스냉·난방시스템 도입은 전력피크 억제를 위한 주요 시스템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라며 “특히 가스냉방의 여러 가지 장점과 더불어 정부의 지원정책 개선은 그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가스냉방은 효율성, 경제성, 안정성, 환경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력 효율은 40% 정도이며 특성상 저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력예비율을 유지해야 하는데 전력예비율과 송배전 손실을 감안하면 전력 효율은 35% 정도다. 이에 반해 가스는 에너지 손실이 적고 수송 손실이 없어 훨씬 효율적이라는 게 가스업계의 설명이다.

한국가스공사는 냉방용 천연가스 요금을 원료비 이하로 책정하고 겨울철 난방 때에도 업무난방용보다 2.11원/m³ 저렴하게 요금을 적용해 경제성에서 우수하다.

도시가스로 매설된 배관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언제나 필요한 만큼 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 전력 위기와 같은 비상사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기는 냉매로 프레온가스를 사용해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데 반해 흡수식 가스냉방은 냉매로 물을 사용해 친환경적이다.

정부도 가스냉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설치보조금 지급, 공공기관 가스냉방 설치 의무화, 대형 건물 가스냉방 설치 유도, 가스냉방기기 효율에 따른 설치보조금 차등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1996년부터 가스냉방장려금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1997년부터 원료비 이하로 요금을 책정해 운영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정부의 보조금으로 전환해 운영 중이며 현재는 가스냉방기기 설치비의 약 20%를 정책자금(전력기금)에서 지원한다. 올해 5월까지 가스냉방 정부 보조금 신청 금액은 76억원이다.

 

Source : todayenergy

Fossil fuel, 가스냉방, 전력난, 한국가스공사
PREV 1 ... 900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 2,236 NEXT

뉴스

  • 국내뉴스
  • 해외뉴스
  • 에너지 정책
  • 오피니언

검색

Follow us on Twitter

Follow @DSenergyen
  • Popular
  • Today Week Month All
  • Jetpack plugin with Stats module needs to be enabled.
Ajax spinner

Tag Cloud

Economy Electricity Energy Environment Etc LED LNG LPG news oil price Renewable Energy 건강 경제 국제유가 기후변화 녹색성장 뉴스 대성에너지 미국 서울시 석유 셰일가스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에코 온실가스 원자력 원전 이산화탄소 일본 자동차 자연 자원 재활용 전기자동차 전력 중국 지구 지구온난화 지식경제부 친환경 탄소 태양광 태양광발전 태양열발전 폐기물 풍력 환경 환경공학 환경부

Upcoming Conferences

There are no upcoming events.

View Calendar


  • 홈
  • / 뉴스
  • / 에너지정보
  • / 정보마당
  • / 참여마당
  • / 컨퍼런스
  • / 대성투데이
맨위로맨위로
에너지코리아

©2011 DAESUNG ENERGY. All rights reserved.

회사 소개 서비스 약관 개인정보보호방침 찾아오시는길
Powered by
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