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코리아
대성그룹
  • Home
  • 뉴스
    • 국내뉴스
    • 해외뉴스
    • 에너지 정책
    • 오피니언
  • 에너지정보
    • 에너지 상식
      • 에너지란?
      • 화석에너지
      • 원자력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 지구온난화
    • 국가자료
    • 단어사전
  • 정보마당
    • 교육기관
    • 에너지기업
      • 가스
      • 석유
      • 신재생
    • 인물소개
    • 정부기관
    • 책소개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사진
    • 동영상
    • 함께해요
  • 컨퍼런스
    • 스케줄
    • 참여후기
      • 2012 그린에너지엑스포
      • 201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 2013 그린에너지전
  • 대성투데이
    • CEO
    • 뉴스
    • 사진 & 동영상
  • 로그인
  • 처음이세요? 회원가입
view all
  • 뉴스
    • 국내뉴스
    • 해외뉴스
    • 에너지 정책
    • 오피니언
  • 에너지정보
    • 에너지 상식
      • 에너지란?
      • 화석에너지
      • 원자력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 지구온난화
    • 국가자료
    • 단어사전
  • 정보마당
    • 교육기관
    • 에너지기업
      • 가스
      • 석유
      • 신재생
    • 인물소개
    • 정부기관
    • 책소개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사진
    • 동영상
    • 함께해요
  • 컨퍼런스
    • 스케줄
    • 참여후기
      • 2012 그린에너지엑스포
      • 201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 2013 그린에너지전
  • 대성투데이
    • CEO
    • 뉴스
    • 사진 & 동영상
인기검색어 TOP10
  1. register
  2. wood pellets korea
  3. fuel+cell
  4. solar water heater
  5. hydrogen
  6. pakistan
  7. korea
  8. lng to ship
  9. co2 germany
  10. subsidy korea
  1. register
  2. wood pellets korea
  3. fuel+cell
  4. solar water heater
  5. hydrogen
  6. pakistan
  7. korea
  8. lng to ship
  9. co2 germany
  10. subsidy korea

close X

Popular tags from ‘뉴스’

Economy Etc Renewable Energy 셰일가스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에코 재활용 친환경 태양광 태양열발전 풍력

뉴스

  • 안전공급실 직원이 직무기술 능력에 대한 평가를 받고 있다.
    대성에너지, 안전공급실 직원 직무평가 hot
    직무기술 및 긴급상황 시 대처능력 점검 대성에너지(대표이사 강석기)는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서구 중리동 서부지사 교육장과 검사동 상황실에서 안전공급실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기술 및 긴급상황 시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직무평가를 실시했다. 이번 직무평가에서는 ►정압기 구조이해와 분해점검 숙련도 ►배관파손 시 안전하고 신속한 응급조치 여부 ►해당구역 내 밸브 및 정압기의 정확한 위치 숙지여부 ►상황 도상훈련 등 상황관리 대처능력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각 항목당 평가는 지사별 2명씩 무작위로 대상자를 선정해 장비사용의 숙련도와 안전수칙 준수 등 직원들의 세부적인 직무 기술능력까지 평가했다. 또한 상황 도상훈련은 상황실근무자 전원과 각 지사의 근무조별로 유기적인 긴급 상황관리 대처능력을 평가하고, 종합평가 우수 지사에 대해서는 포상도 이뤄졌다. 이석형 기술본부장은 “최일선에서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안전공급실 직원들의 업무숙련도는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내 가족의 안전을 지킨다는 마음가짐으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업무능력을 키우자”고 강조했다. 대성에너지 기술본부는 2010년부터 매년 안전공급실 직원들을 대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직무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매분기별 공급시설물 비상출동훈련, 섹터별 야간비상출동훈련 등 안전사고에 대비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Source: 이투뉴스 more
    2013.09.13
  • 대성에너지 안전관리자들이 비상사태를 가상한 가운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 있다.
    대성에너지, 가스 공급시설물 비상출동 훈련 hot
    중압배관 파손 따른 현장조치 능력 배양 대성에너지(대표이사 강석기)는 3일 대구 달서구 송현동 일대에서 공급권역 내 도시가스 관련 사고를 대비해 공급시설물 비상출동 훈련을 실시했다. 도시가스 공급시설물에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급시설물 비상출동훈련은 가상 상황을 설정, 불시에 상황을 발령해 신속하게 현장 조치 및 응급 복구에 나서는 등 사태 수습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일환이다. 이날 훈련은 달서구 송현동 일대 지진이 발생해 지역정압기 앞 중압배관 파손으로 가스가 누출되고 있다는 가상 상황을 발령해 ►상황실에서 각 순찰차량으로 신속한 상황전달 ►최초 도착자의 현장 상황보고와 현장통제 능력 ►현장출동 및 밸브 신속차단 ►긴급복구 능력 등을 점검했다. 훈련 과정에서 미흡한 점은 곧바로 개선하게 된다. 이석형 기술본부장은 “최근 열차추돌 사고처럼 실무 담당자의 잘못된 판단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고 말하고 “도시가스 특성상 사고발생 초기 상황판단착오가 치명적인 피해를 가져 올 수 있는 만큼 각자가 비상사태 발생 시 최초 도착자라 생각하고, 이에 대비한 상황인식과 대처능력을 키우자”며 무엇보다 초동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매년 분기별로 다양한 상황들을 가정해 각 지사별로 년 4회의 공급시설물 비상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대성에너지는 이외에도 전 직원이 참여하는 섹터별 야간 비상출동 훈련을 매달 실시하는 등 불시에 일어날 수 있는 비상사태에 대비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Source : e2news more
    2013.09.05
  • 이미지 2
    대성산업가스, ‘OHSAS 18001’ 획득 hot
    환경·안전보건경영시스템 통합·표준화 이뤄 대성산업가스(주)(대표 김영대, 김형태)는 지난달 2일 한국품질보증원으로부터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인 OHSAS(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ssessment Series) 18001을 획득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인증획득으로 대성산업가스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산소, 질소, 알곤 및 특수가스 제조분야의 환경경영시스템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통합 및 표준화를 통해 환경과 안전보건경영이 세계적 수준의 품질을 갖추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또한 환경과 안전보건 요구사항을 이행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2013년 4월 전문 컨설팅기업인 KPMC와 함께 안전보건 관련업무분야 경영컨설팅을 착수해 지난 달 인증심사를 받으면서 결실을 맺게 됐다. 장성수 대성산업가스 이사는 “이번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그동안 해오던 안전보건관리 업무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고 안전보건의 문제로 인한 경영리스크에 능동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현재 장점을 더욱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됐다”라며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쌓아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OHSAS 18001인증은 영국표준협회와 로이드인증원을 비롯한 세계적인 인증기관이 공동 제정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으로 조직이 자율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규정한 요구사항을 정한 규격이다. Source : todayenergy more
    2013.08.23
  • 71722_28231_317
    대성에너지, 상반기 매출 5718억원으로 7.3%↑ hot
    대성에너지(대표 강석기)는 2분기 이후 회복세를 보인 추세가 경영실적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에 다소 위축됐던 성적표가 상대적으로 올해 성과를 거둔 것이 그대로 확인된 것이다. 대성에너지가 공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매출은 5718억2900만원으로 전년동기 5326억6800만원보다 7.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96억900만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에 올린 96억800만원보다 0.1% 늘었다. 순이익은 84억8800만원을 거둔 지난해 상반기보다 15.3% 늘어난 97억900만원을 달성했다. 올해 2분기의 경우 매출은 1971억5600만원,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42억800만원, 순이익은 마이너스 14억8200만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플러스로 돌아섰다. Source : e2news more
    2013.08.22
  • 이미지 1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글로벌 석유·가스 미래 논의 hot
     셰일가스혁명 영향, 석유의 미래 등 해당 분야 전망  사우디 아람코, 로얄 더치셸, 엑손모빌, 러시아 에너지 장관 등 주요 연사로 나서 오는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2013대구세계에너지총회에서는 전 세계의 석유 및 가스 분야의 업계 리더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셰일 가스의 미래와 원유 가격 등 해당 분야의 가장 뜨거운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 석유 및 가스 분야 세션의 주요 연사로 사우디 아람코 CEO 칼리드 알 팔리, 로얄더치셸 CEO 피터 보저, 러시아 에너지 장관 알렉산더 노박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영국의 BG그룹, 미국의 코노코필립스, 듀크에너지, 엑손모빌, 러시아 가즈프롬, 일본석유자원개발(Japex), 콜롬비아 석유공사(Ecopetrol), 인도석유공사(ONGC), 멕시코석유공사(Pemex), 인도네시아석유공사(Pertamina), 알제리국영석유사(Sonatrach), 트랜스캐나다, 호주 우드사이드 에너지 등의 국제 에너지 기업들이 참여한다. 또한,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남미, 중동의 각 대륙에서 석유가스 분야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주요국 장관들이 참여하여, 여러 글로벌 에너지 현안과 함께 해당 분야를 둘러싼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가 이루질 예정이다. 특히, 카스피해등 새로운 자원의 보고지역을 중심으로 생겨나는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 및 다양한 사업 기회등에 대한 논의도 이어져 해당 업계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지 가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석유 및 가스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논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셰일 가스와 셰일 오일은 거품에 불과한가?  러시아 집중 조명: 세계 에너지 시장 전환기의 주요 정책 변화와 국제적 공조  원유 가격의 투명성: 국제 가격 결정의 절차 개선 방안  북미: 2025년에는 에너지 자립국으로 변모할 것인가?  아시아 LNG시장의 신 성장  국영석유회사 및 민간기업의 역할 이와 관련하여,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조직위원회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은, “석유 및 천연가스 논의는 현재 세계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 있다. 또한 에너지 안보와 탄소배출 감소 등의 글로벌 에너지 이슈와도 맞물리는 중요한 화두”라며, “이번 총회는 에너지 리더들이 미래의 에너지 로드맵을 구상하는 구심적 역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계에너지협의회 크리스토프 프라이 사무총장은, “셰일가스 혁명은 에너지 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는 에너지 대전환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북미대륙은 에너지 자립이라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세계 에너지 무역 흐름의 변화를 주도하고, 최초로 석유와 가스 가격 분리의 가능성을 야기시켰다”며 “이번 총회에서는 업계 리더들이 한데 모여 석유와 가스 분야의 미래에 대한 중요한 논의가 이루어 질 것” 이라고 전했다. 한편, 올해 22회를 맞이하는 세계에너지총회는 석유,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이슈를 총망라하여 ‘내일의 에너지를 위한 오늘의 행동 (Securing Tomorrow’s Energy Today)’이라는 주제로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 안보, ▲에너지 수급 불균형,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문제를 에너지 삼중고(trilemma)로 정의하고 다각적인 논의와 토론이 이루어진다. 각국 에너지장관, 국제기구의 수장, 각 지역의 개발 은행 총수등 현재까지 200명이 넘는 글로벌 리더들이 연사로 참여를 확정했다. 세계에너지총회는 92개국 3000개의 회원사들로 이루어진 세계에너지협의회 주최 하에 3년마다 열리며 에너지 시장에서 아시아의 역할이 계속해서 증대되는 가운데, 올해 총회는 90년 역사상, 인도(’83)와 일본(’95)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로 개최된다. 선진국과 개도국을 포함한 전 세계 140여 개국의 기업, 정부, 국제기구, 학계, 협회 등 모든 에너지분야 리더 및 관계자 5,000여명이 참석하는 이번 행사는 올해 한국에서 열리는 가장 큰 국제행사이다. ### 참고자료 석유 및 가스 분야 연사 (24명) •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 CEO 칼리드 알 팔리 (Khalid A. Al-Falih) • 러시아 가즈프롬 경영위원회 위원(Member, Management Committee, Gazprom) 올레 아크슈틴(Oleg Aksyutin) • 미국 엑손모빌(ExxonMobil) LNG 부문 글로벌 부사장(Global Vice President for LNG) 리차드 게란트 (Richard Guerrant) • 인도네시아 국영석유공사 페르타미나(Pertamina) President & CEO 카렌 아구스티아완 (Karen Agustiawan) • 멕시코 페멕스 회장(Director General, Pemex) 에밀리오 로조야 오스틴 (Emilio Lozoya Austin) • 러시아 가즈프롬 부회장(Deputy Chairman, Gazprom) 알렉산더 메드베데프 (Alexander Medvedev) • 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 CEO 피터 보저 (Peter Voser) • 미국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 Business Development and Corporate Planning Executive Vice President 돈 월렛 (Don Wallette) • 일본 석유자원개발(JAPEX) President & CEO 오사무 와타나베 (Osamu Watanabe) • 알제리 국영석유공사 소나트랙(Sonatrach) CEO 압델하미드 제르귄 (Abdelhamid Zerguine) • 트랜스캐나다(TransCanada) President & CEO 러셀 걸링 (Russell Girling) • 아랍 에미리트 국영유조선회사 아부다비내셔널탱커(ADNATCO) CEO; 국영가스운송회사 내셔널가스쉬핑(NGSCO) CEO 알리 오베이드 알-야호우니 (Ali Obaid Al-Yabhouni) • 인도 석유천연가스공사(ONGC) Chairman & Managing Director 수드히르 바수데바 (Sudhir Vasudeva) • 아르헨티나 산 조지 패트롤리움 회장 겸 (San Jorge Petroleum SA, San Jorge Energy SA and San Jorge Minera SA President & CEO;) 세계에너지협의회 아르헨티나 국가위원회 의장 호르헤 페리올리 (Jorge Ferioli) • 콜롬비아 석유공사 에코페트롤(Ecopetrol SA) President 하비에르 헤나로 구티에레즈 펨베르티 (Javier Genaro Gutiérrez Pemberty) • 영국 게넬에너지(Genel Energy) Executive Director & CEO 토니 헤이워드 (Tony Hayward) • 영국 브리티쉬 가스사(BG Group) Chief Operating Officer & Executive Director 마틴 휴스턴 (Martin Houston) • 독일 VNG 집행위원회 위원 클라우스-디어터 바브네크 (Klaus-Dieter Barbknecht) • 아랍 에미리트 쉘 업스트림 인터내셔널; 아부다비, 시리아, 쿠웨이트 부회장(Shell Upstream International – Abu Dhabi Country Chair & Abu Dhabi, Syria and Kuwait VP) 존 배리 (John Barry) • 호주 우드사이드에너지(Woodside Energy) CEO & Managing Director 피터 콜맨 (Peter Coleman) • 미국 타카 리소스 회장 겸 맨티 LP 부회장 (Tarka Resources Inc President; Manti LP Vice Chairman and CEO) 개리 킹 (Gary King) • 에스토니아 에스티 에너지(Eesti Energia) CEO & Chairman; WEC 에스토니아위원회 의장(Chair, Estonian National Member Committee) 산도르 리이브 (Sandor Liive) • 캐나다 오일샌드 생산회사 선코 에너지(Suncor Energy Inc.) Major Projects Executive Vice President 마이크 맥스윈 (Mike MacSween) • 일본 도쿄가스 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 Tokyo Gas) 시게루 무라키 (Shigeru Muraki) 세계 에너지 협의회 (WEC: World Energy Council) 세계에너지협의회(이하 WEC)는 1923년 영국 런던에서 설립된 에너지 전문 국제 민간기구이다. 설립초기에는 전력분야 공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세계대전 후 피폐한 전력사업을 재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나 차차 에너지 전 분야로 영역을 확대했다. 본부는 런던에 두고 있으며 회원국은 전 세계 92개국이다. 각 회원국에는 정부기관, 연구기관, 기업, NGO, 대학 등에 소속된 에너지 전문가들을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WEC는 “모든 사람들에게 최대한의 혜택이 돌아가게 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공급과 이용”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연간 수 차례에 걸쳐 연구보고서와 각 국의 에너지 정책을 평가한 정책평가 자료를 내고 있다. 3년 주기로 개최하는 세계에너지 총회(World Energy Congress)는 가장 규모가 크고 권위 있는 에너지 관련 컨퍼런스(전시회 동시 개최)로 정평이 나 있다. WEC는 의장, 공동의장 그리고 각 대륙 별로 1명씩 총 7명의 부의장으로 구성된 의장단과, 연구, 재정,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3개의 상임위원회가 핵심 지도부이다. WEC는 매년 전체 회원국이 모여 중요사항을 결정하는 연차총회(Executive Assembly)를 열고, 각 부의장 주재 하에 대륙 별 지역회의(regional meeting)를 연간 수 차례 개최한다www.worldenergy.org 세계 에너지 총회 (World Energy Congress) 1924년 이후 3년마다 개최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에너지 관련 국제회의로, 전 세계 140여 개국의 기업, 정부, 국제기구, 학계, 협회 등 모든 에너지분야 리더 및 관련자 5000여명이 참석해 약 1주일간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에너지관련 세계 주요 기업들의 최신기술 홍보 및 정보교류의 장이 될 전시회와 각종 이벤트가 동시에 개최되는 세계 에너지업계 최대행사이다. 지난 2008년 멕시코 시티에서 개최된 WEC 집행 이사회는 한국의 대구를 22차 세계 에너지 총회 개최지로 선정했다. 2013년 총회 개최를 위한 주관 기관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대구시, 경상북도, 한국전력공사 및 SK에너지가 포함된다. 2013대구세계에너지총회 웹사이트: www.daegu2013.kr 보도자료문의 박인앙 부장 인사이트 커뮤니케이션즈 컨설턴츠 Tel: 02-739-7016 Mobile: 010-3213-7465 inang.park@insightcomms.com 이정민 인사이트 커뮤니케이션즈 컨설턴츠 Tel: 02-739-6633 Mobile: 011-9138-8083 jungmin.lee@insightcomms.com more
    2013.08.19
  • 대성에너지 그루터기 봉사단원 및 가족들이 재활원에서 직접 준비해 만든 팥빙수 앞에서 활짝 미소짓고 있다.
    대성에너지 ‘그루터기’ 동아리 ‘팥빙수 사랑나눔’ hot
    지적장애생활시설 원생 생일축하 등 깜짝 이벤트도 전국적으로 숨막히는 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성에너지(대표 강석기) 사내 봉사동아리인 ‘그루터기’는 지난 10일 팔공산에 위치한 지적장애생활시설인 자유재활원에서 200여명의 원생들에게 시원한 팥빙수를 직접 만들어주는 봉사활동을 펼쳤다. 휴가 기간임에도 회원 10여명과 가족들이 참여한 이번 봉사활동은 무더운 여름철에 누구나 즐겨먹는 팥빙수지만 자유재활원이 팔공산 중턱에 위치해 지리적인 여건상 금방 만든 시원한 팥빙수를 먹기 어려운 원생들을 위해 마련됐다. 봉사단원과 가족들은 팥빙수기계를 직접 대여해 준비한 재료로 보기에도 시원한 팥빙수를 만들어 함께 먹으며 잠시나마 더위를 잊었다. 아울러 생일을 맞이한 원생들에게 케이크와 선물을 전달하는 깜짝 이벤트도 펼치며 즐거운 시간을 함께 했다. 이날 행사를 주최한 한승훈 ‘그루터기’ 회장은 “대구 날씨가 36℃를 오르내리는 폭염 속에 시원한 팥빙수로 웃음꽃이 활짝 핀 친구들의 얼굴에서 행복이 느껴진다”며 “힘든 때일수록 어려운 환경에 처한 주변 이웃들에게 보다 많은 관심으로 서로 행복을 나누었으면 한다”고 소감을 전하며 소외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다짐했다. Source : e2news more
    2013.08.12
  • 대성그룹이 주최하는 ‘2013 에코에너지 캠프’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이 에너지와 환경부문의 첨병이 될 것을 다짐하고 있다.
    대성그룹, ‘2013 에코에너지 캠프’ 개최 hot
    초등학생 대상 ‘에너지와 환경’ 주제 기능성 게임 대성그룹(회장 김영훈)은 29일부터 8월 1일까지 3박 4일간 경남 거창 그룹 연수원에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능성게임 캠프 ‘2013 에코에너지 캠프’를 개최한다. 올해로 10년째인 이 캠프는 오는 10월 대구에서 열리는 2013대구세계에너지총회의 성공개최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내일의 에너지를 위한 오늘의 행동’을 주제로 특별히 기획됐다. 참가 학생들은 에너지와 환경을 주제로 한 기능성 게임을 직접 제작하며 주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창의적인 문제 해결능력, 공동과제를 함께 해결하는 팀워크를 기르게 된다. 캠프에 참가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0명은 5개조로 나뉘어 ‘에너지’와 ‘기능성 게임’에 관한 전문가 특강, 에너지 시설 체험학습, 조별 토론을 통해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특히 평소 신재생에너지에 생소한 아이들을 위해 대성그룹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200㎾급 타워형 태양열 발전 시스템 현장, 방천리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 현장을 견학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주어진다. 또한 참가자들은 계명대 게임모바일콘텐츠학과 지도교수와 학생들의 도움을 받아 게임의 주제 및 스토리 구성, 캐릭터 개발, 컴퓨터 프로그래밍 작업 등 게임 제작을 위한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캠프 마지막 날에는 대성에너지 본사 강당에 모여 조별로 제작한 게임을 발표하는 게임쇼와 시상식이 열린다. 게임쇼 심사위원에는 수잔나 샘스택 오 게임스포체인지 한국지부장, 임충재 계명대학교 게임모바일콘텐츠학과 교수, 김봉준 대구교육연수원 교육연구사, 이재광 대구디지털콘텐츠진흥원 대구E-Fun 담당부장 등 기능성게임 및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하며, 참가자들이 만든 모든 게임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게임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2013에코에너지 캠프’는 대성해강과학문화재단이 주최하고, 대성홀딩스·계명대학교가 주관하며, 대성그룹·대성에너지·사제동행 원격교육연수원·유런넷 평생교육원이 후원한다. 대성그룹은 2004년부터 개최해온 청소년과학캠프에 2009년부터 기능성게임 개발과정을 접목했다. 해마다 신재생에너지, 청소년 건강, 남북분단, 생활안전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주제로 캠프를 진행하며 참가비용은 대성해강과학문화재단이 전액 지원한다. Source : e2news more
    2013.07.30
Write

PREV 1 2 3 4 5 6 ... 9 NEXT

대성투데이

  • CEO
  • 뉴스
  • 사진 & 동영상

검색

Follow us on Twitter

Follow @DSenergyen
  • Popular
  • Today Week Month All
  • Jetpack plugin with Stats module needs to be enabled.
Ajax spinner

Tag Cloud

Economy Electricity Energy Environment Etc LED LNG LPG news oil price Renewable Energy 건강 경제 국제유가 기후변화 녹색성장 뉴스 대성에너지 미국 서울시 석유 셰일가스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에코 온실가스 원자력 원전 이산화탄소 일본 자동차 자연 자원 재활용 전기자동차 전력 중국 지구 지구온난화 지식경제부 친환경 탄소 태양광 태양광발전 태양열발전 폐기물 풍력 환경 환경공학 환경부

Upcoming Conferences

There are no upcoming events.

View Calendar


  • 홈
  • / 뉴스
  • / 에너지정보
  • / 정보마당
  • / 참여마당
  • / 컨퍼런스
  • / 대성투데이
맨위로맨위로
에너지코리아

©2011 DAESUNG ENERGY. All rights reserved.

회사 소개 서비스 약관 개인정보보호방침 찾아오시는길
Powered by
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