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
-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오존층은 왜 보호해야 할까?
-
9월 16일은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이라고 해요. 우리는 흔히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구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거라는걸 알고 있잖아요. 그런데 왜 오존층을 보호해야 하는지 자세한 이유는 알지 못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로써 오존층은 왜 보호...
- 댓글 0 | 2013.09.16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한국 속의 작은 지구, 개관준비에 한창인 국립생태원
-
여러분은 충청도 ‘서천군’이라는 곳을 아시나요? 아마 잘 모르시는 분도 있을 텐데요. 주꾸미와 갈대밭으로 유명한 이 작은 시골마을에 대한민국 최초, 아시아 최대의 공간이 곧 탄생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바로 이 공간의 명칭은 ‘국립...
- 댓글 0 | 2013.09.13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DMZ 생태계 공동조사를 제안한다
-
서정수 박사 /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자연환경보전연구소 소장 최근 남북 평화 및 화합을 도모하고 남북간 긴장 완화를 통한 환경협력의 토대를 DMZ 평화생태공원이라는 명제하에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발빠른 지자체와 관심권내 관련 인사들의 의견이 난무한다....
- 댓글 0 | 2013.09.11 | 뉴스 > 오피니언
-
-
신비롭고 아름다운 그곳, 습지
-
푸루와 함께 떠나는 아름다운 우리 환경(1) 안녕하세요, 여러분~ 푸루가 왔어요~ 오늘은 푸루가 여러분을 위해 아주 특별한 여행을 준비했어요. 어떤 곳으로 떠나게 될지 궁금하시죠? 후후 함께 떠날 그 첫 번째 여행지는 바로,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 댓글 0 | 2013.09.04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자연생태계의 보고, 독도를 소개합니다!
-
최근 들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 독도지만 실제로 독도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독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아침을 맞이하는 땅이다. 지리적으로는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 가장 가까운 육지인 경북 울진군 죽변항에서는 217㎞ 거리에 위치해 있다. 독도경...
- 댓글 0 | 2013.08.30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신비의 바닷새 ‘뿔쇠오리’ 번식생태...
-
1983년 번식 확인 이후 30년 만에 번식생태조사 실시 번식 성공률 53%, 먹이활동 거리 20~50㎞로 밝혀져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뿔쇠오리’가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자세한 경로 및 번식성공률 등 번식생태가 최초로 확인됐다. 국립공원관리공...
- 댓글 0 | 2013.07.26 | 뉴스 > 국내뉴스
-
-
독도 수중 폐기물 산더미 생태계 파괴 심각
-
경북일보 영상탐사…폐그물·폐자재 등 수십톤 방치 고물상 보는듯 한국의 갈라파고스로 불리며 해초속에 물고기만 유유히 떠다니는 늘 아름다운 전경만 간직하고 있을 것이라는 독도 수중은 예상을 완전히 깨고 심한 몸살을 앓고 있었다. 국가 천연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독도 수중...
- 댓글 0 | 2013.06.20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럭셔리업계도 생태계 구축이 답…애플을 벤치마킹해라?
-
시스템 창조·융통성 구축·가치 창출 등이 생태계 구축 핵심 요소 럭셔리업계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한 애플을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최근 컨설팅업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권고했다. 세계는 격변하고 있으며 매우 복잡해 럭셔리업체 하나가 제품 개발...
- 댓글 0 | 2013.06.19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생태계 보고 ‘DMZ’ 세계평화공원...
-
박근혜 대통령 美 의회서 DMZ에 세계평화공원 조성 밝혀 북한·주무부처 문제부터 해결 필요 시민단체, “생태적 차원에서부터 접근해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시간)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비무장지대(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
- 댓글 1 | 2013.05.13 | 뉴스 > 국내뉴스
-
-
해저 5천미터 쓰레기 “생태계 파괴 주범은...
-
해저 5천미터 부근에서 쓰레기가 발견 돼 주목을 끌고 있다. 최근 영국 복수의 매체들에 따르면 영국 해양학 연구소 과학자들은 원격조정 잠수함을 이용해 카리브해의 열수공을 탐사했다. 열수공이란 뜨거운 물이 나오는 해저의 구멍으로, 주변에는 차 가운 물이 데워져 풍부...
- 댓글 0 | 2013.03.22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악어 먹는 악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나?...
-
최근 해외 온라인 게시판에서 다 큰 악어가 새끼 악어를 잡아 먹는 동영상이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악어 먹는 악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이 동영상에는 성체가 된 악어 한마리가 새끼 악어를 입에 문 뒤 잘근잘근 씹는 모습이 20여초간 담겨...
- 댓글 3 | 2013.03.20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식물의 번식력을 표현하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레다와 백조’ 식물의 자생력은 번식력에 따라 달라진다. 식물은 번식하기 위해 씨를 여러 개 만들기도 하고 하나만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번식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따라서 번식력이 좋은 식물은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데, 번식력이 떨어지는...
- 댓글 0 | 2013.02.26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더 뜨거워지는 지구, 연안도시 생존 위협
-
美 허리케인 ‘샌디’ 보고서 - 온난화 여파로 해수면 상승 - 홍수 해일 침수피해 등 증가 - 생태계·보건·경제적 충격파 - 도시 지속가능성 가로 막아 - 맞춤형 대책마련 서둘러야 지구 온난화가 미국 연안의 생태계와 보건, 경제 활동에 지속적...
- 댓글 0 | 2013.02.13 | 참여마당 > 커뮤니티
-
-
특집환경다큐 비오톱, 단절된 도시생태계의 징검다리 4
- 댓글 0 | 2013.02.01 | 참여마당 > 동영상
-
-
특집환경다큐 비오톱, 단절된 도시생태계의 징검다리 3
- 댓글 0 | 2013.02.01 | 참여마당 > 동영상
-
-
특집환경다큐 비오톱, 단절된 도시생태계의 징검다리 2
- 댓글 0 | 2013.02.01 | 참여마당 > 동영상
-
-
특집 환경다큐 비오톱, 단절된 도시생태계의 징검다리1
- 댓글 0 | 2013.02.01 | 참여마당 > 동영상
-
-
독도서 미기록 3종 추가로 확인…새부리슴새, 박새 등
-
독도에서 기존 연구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3종의 생물이 발견됐다. 대구지방환경청은 지난해 독도의 생태계를 분석한 결과 쇠부리슴새, 박새 등 조류 2종과 초록좁쌀먼지벌레 등 곤충 1종을 포함해 모두 3종의 미기록 생물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대구...
- 댓글 0 | 2013.01.30 | 참여마당 > 커뮤니티
태그 / 생태계
검색
Follow us on Twitter
Upcoming Conferences
There are no upcoming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