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부적합3

전기방석 등 39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리콜’ 전기방석, 전기요 등 겨울용품 39개 제품이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리콜 명령을 받았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겨울철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68개 품목, 1019개 전기·생활용품과 어린이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리콜 명령을 받은 제품은 전기용품 13개, 생활용품 9개, 어린이제품 17개입니다.  전기용품은 화재 위험이 있는 전기방석(3개), 전기찜질기(3개), 전기매트(1개), 전기요(1개) 등입니다. 생활용품은 화재 위험이 있는 기름난로(1개), 유해물질이 검출된 마스크(3개) 등이며, 어린이제품은 노닐페놀 검출 또는 코드 및 조임끈 부적합으로 사고 위험이 있는 유아용 섬유제품(2개), 납·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된 완구(3개)를 포함하.. 2024. 12. 17.
전기침대 등 4개 제품 ‘안전기준 부적합’ 리콜명령 전기침대 등 4개 제품이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리콜 명령을 받았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키즈카페 등 영업장에 설치돼 일반인이 사용하는 설치형 제품, 전문가가 주로 사용하는 전문가용 제품 등 17개 품목 58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 이같이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리콜 명령을 받은 제품은 어린이 제품 1개, 전기용품 3개입니다.  어린이 제품의 경우 키즈카페나 음식점 등에 설치‧사용되는 놀이기구 1개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를 초과했습니다. 전기용품으로는 미용실에서 헤어 세팅에 사용되는 모발말개 1개가 퓨즈홀더 충전부 노출로 인한 감전 위험으로, 전기침대 2개는 컨트롤러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충전부 노출로 인한 감전 위험으로 각각 리콜 명령을 받았습니다. 국표원은 이들 제.. 2024. 11. 1.
40개 해외직구 제품, 국내 안전기준 ‘부적합’ 아동용 섬유제품, 완구 등 40개 해외직구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190개 인기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그 내용을 보면 어린이 제품은 94개 제품 중 아동용 섬유제품 7개, 완구 4개, 유아용 캐리어 1개 등 15개 제품이 부적합했습니다. 전기용품은 조사한 66개 제품 가운데 직류전원장치 8개, LED 등기구 3개, 플러그 및 콘센트 2개, 와플기기 1개 등 14개 제품이 안전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습니다. 30개 제품을 조사한 생활용품의 경우 휴대용 레이저 용품 3개, 승차용 안전모 2개 등 11개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표원은 소비자가 해외직구.. 2024.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