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KOTRA22

[이스라엘] 이스라엘 전기의 14%만이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 -2024년 기준 유럽 연합은 전력 생산 48%를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하여, 14% 인 이스라엘 크게 앞섬 -이스라엘 전력 구성, 천연가스 71%, 석탄 14%, 재생 에너지 14% -이스라엘 정부의 2025년 20% 재생 에너지 대체 목표 달성 가능성이 낮아 16%에 그칠 것으로 전망 -정부의 복잡한 규제, 인프라 부족, 자유 시장 활성화 실패 등이 주요인 -한편, 2024년 이스라엘 전기차 판매 비중은 27%, 유럽 연합(20%) 상회, 전기버스 전년 대비 20% 증가 *원문 기사 링크: https://www.calcalistech.com/ctechnews/article/2572qjusa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2. 5.
[슬로베니아] 전기차 판매량 급감,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인기 □ 슬로베니아 전기차 판매량 급감,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인기   ㅇ 2024년전기차 판매량, 전년 대비 약 38% 감소. 총 3,142대가 신규 등록      - 이는 전체 신규 등록 승용차 중 약 6%에 해당, 슬로베니아 국가 기후 계획의 최소 목표치인 3,951대에도 미치지 못함      -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전기차로, 각각 446대와 390대가 신규 등록됨      - Cupra Born은 304대로 그 뒤를 이음      - MG 4와 Volkswagen ID.3는 각각 138대로 공동 4위를 차지함   ㅇ 전기차 판매 감소의 주요 원인, 높은 차량 가격과 소비자들의 구매 망설임      - 전기차는 여전히 내연기관 차량보다 가격이 높아 소비자들의 구.. 2025. 2. 5.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ㅇ 원전 운영 국영기업 Gen Energija, 최종 후보로 프랑스 EDF와 미국 Westinghouse 선정 발표       - 한국수력원자력(KHNP), Krško 2 원자로 건설 사업에서 제외       - 슬로베니아 정부, 중국 및 러시아 원전 기술 배제 방침 유지   ㅇ KHNP 탈락으로 최종 후보 원자로 유형 3가지로 축소       - Westinghouse: 1,000MW급 가압경수로(AP 1000)       - EDF: 1,200MW 및 1,650MW급 유럽 가압경수로(EPR 1200, EPR 1650)       - Gen Energija, 경쟁이 여전히 충분하며 선택 과정 간소화 기대   ㅇ Krško 2 프로젝트 예상 비.. 2025. 2. 5.
2024년 중국은 러시아산 석유 및 LNG 수입 확대 ㅇ 중국은 2024년에 러시아산 석유 1억 850만 톤(624억 2천만 달러) 수입(전년 대비 1.3% 증가)ㅇ 또한 러시아산 LNG 수입은 830만 톤(49억 9천만 달러) 기록(전년 대비 3.3% 증가)ㅇ 이로써 러시아는 중국의 △석유 수입에서 1위, △LNG 수입에서 3위를 차지 [원문링크: https://www.rbc.ru/rbcfreenews/678dc1469a7947531044d64b]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1. 23.
독일 전력 시장 현황과 2025년 에너지 분야의 주요 과제 독일은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전력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에서는 전체 발전량의 59%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하며, 에너지 전환의 진전을 보여줬다. 그러나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 전력망 안정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 그리고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독일 전력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2025년 에너지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들도 짚어봤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 현황 지난해 독일에서는 총 431.7TWh의 전기가 생산됐는데, 이는 2023년(450.5TWh)에 비해 4.2% 감소한 수치다. 발전 에너지원 중 재생에너지원에 의한 발전량은 254.9T.. 2025. 1. 23.
고성능 컴퓨팅과 전기차 전환을 위한 냉각 혁명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한 다양한 발열 통제 솔루션 급부상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자사 AI 가속기 블랙웰 사용을 위해서는 액체냉각 시스템 등 획기적인 발열 통제 솔루션이 AI 전환에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AI 모델 가동 시 서버 발열은 추론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서버 온도를 20~25도 사이로 맞추기 위한 냉각 및 공조 시스템은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진다. 기존에는 에어컨 및 환기 시스템을 통해 공기를 차갑게 하여 서버의 발열을 통제하는 ‘공랭식’이 지배적이었으나, 전력 소모가 크고 및 공간 효율성이 떨어져 새로운 솔루션의 필요성이 증대됐다. 이러한 배경 아래 상용화 된 기술이 ‘액체 냉각’이다. 서버 내부에 냉각수를 .. 2025. 1. 17.
인도 석유 공급망의 이해, 정부 수출 활성화 전략을 통해 인도 석유 원자재 수입과 석유 제품 수출 현황  Commodity Insights에 따르면 유럽연합과 영국이 2023년 러시아 디젤을 금지한 이후 유럽으로의 인도 석유 제품 수출이 급증하였으며, 지난 10월 수출은 하루 평균 21만5000 배럴에 달했다. 이는 9월 최고치인 28만2000 배럴에서 하락한 수치이며, 11월 수출은 10만4000 배럴으로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 홍해를 포함한 물류 문제가 희망봉을 경유하여 화물을 재운송하여 해결된 이후 인도 정유업계가 유럽과 지중해로의 선적을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대유럽 제트 연료 수출은 5월 12만6000 배럴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했다. 인도는 2022년 2월 이래로 두 번째로 큰 러시아 원유 구매국이 되었다. 총 수입 원유의 1%.. 2025. 1. 17.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경쟁과 한국 리튬 공급망 다변화 대안으로의 아르헨티나 리튬 HS코드 리튬은 상온에서 고체인 알칼리 금속으로, 전기 전도성이 매우 높아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필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글로벌 넷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전기차 보급 확산과 더불어 급격한 리튬 수요 증대로 점차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핵심 원료다. 탄산리튬의 HS코드는 2836.91.00, 수산화리튬의 HS코드는 2825.20.20, 산화리튬의 HS코드는 2825.20.10이다.  아르헨티나 리튬 수출 관련 규제 및 정책, 글로벌 리튬 가격 및 수급 동향 (1) 아르헨티나 리튬 수출 관련 규제아르헨티나는 리튬 자원의 중요한 공급국으로, 아르헨티나의 리튬 수출관세는 4.5%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리튬 자원의 개발 및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 .. 2025. 1. 17.
몽골 공급망, 우라늄과 희토류로 열어가는 경제 다변화의 길 몽골 광물 시장과 라이선스 현황 몽골은 석탄, 구리, 금, 희토류 등 다양한 광물이 풍부하여 세계에서 자원이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 산업 자원부에 따르면, 현재 구리 5,650만 톤, 석탄 366억 톤, 철광석 18억 톤의 확인된 매장량이 공식적으로 보고되었다. 광업 및 산업 자원 부문은 몽골 경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의 30%, 국가 예산 수입의 37%, 총 수출 수익의 94%, 외국인 직접 투자(FDI)의 82%, 그리고 산업 부문 생산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 경제가 광업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몽골 정부는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여 광업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몽골.. 2025. 1. 13.
새롭게 부상하는 천연가스 글로벌 공급망, UAE 가스 산업 동향 천연가스(271111) 미국 에너지관리청인 EIA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UAE는 2023년 기준 UAE는 약 290조 입방피트(Cubic Feet)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의 273조 입방피트 대비 6.2% 증가한 수치이다. 전 세계 매장량 순위에 대한 최신 통계는 찾아볼 수 없지만, UAE측 발표에 따르면 UAE는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규모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이다.  UAE 천연가스 생산 동향 2014년부터 2023년 사이 최근 10년간 UAE의 천연가스 연간 평균 생산량은 약 540억 입방미터(Cubic Meter)이며 동 기간 동안의 평균 소비량은 약 666억 입방미터로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AE는 액화천연가스(LNG) 형태의 가스 수.. 2025. 1. 13.
칠레 국가리튬전략 및 이행현황 칠레 광업 개요 및 광물자원 현황     o 칠레에서 광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 11.9%으로 전력, 용수, 제조, 운송 등         연관 산업에 대한 수요 창출 효과로 인해 국가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023년         광산물 총 수출액은 530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56%를 차지하고 광업 직접 고용인력은 28.7만 명으로         추산된다.      o 한편, 광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광물수요 감소, 가격하락, 환율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국가경제 전체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정치,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도전과제뿐         아니라 구리 품질 저하, 생산비용 증가, 수자원 부족 .. 2025. 1. 8.
2024년 세계 천연가스 공급 안보 위험 요인 o 천연가스 공급 안보를 위협하는 주요 요인 - ’22~’23년 가스 공급 충격 이후, 세계 천연가스 시장은 안정화되고 있지만 가스 공급은 여전히 부족하고   불확실성은 증대되고 있어 세계 천연가스 시장은 여전히 민감하고 취약한 상태  ▶ 세계 천연가스 시장은 러-우 사태로 인한 천연가스 공급 충격 이후 점진적인 안정화 과정을 거쳐 ’24년에는    성장세를 보여 ’24~’25년 세계 가스 수요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하지만, 주요 시장에서 천연가스 가격이 ’22년 최고치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낮은 LNG 공급으로     인해 공급은 여전히 타이트한 상황▶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여파와 더불어 주요 수송 경로의 LNG 운항 차질 등으로 인한 천연가스 공급의     불확실성이 시.. 2025. 1. 8.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132호 ① 공급망 주간 이슈 Check!   ▶ 주요 공급망 이슈 - 【미국·통상】 美 국방수권법(NDAA)에 중국 드론대응법 포함…생물보안법은 제외 - 【미국·원자재】 美 하원,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를 위한 법안 3건 공개 - 【미국·반도체】 美, 중국産 레거시 반도체 공급망 영향 평가 발표…산업 의존도 ⾼ - 【일본·원자재】 ⽇, 구리·희귀금속 공급망 다각화·안정화 사업 적극 지원  ▶ 주간 이슈 포커스  - 【EU·이차전지】 EU, 역내 배터리 제조 지원 강화 계획 발표  ▶ 원자재 뉴스 PLUS  - 【원자재】 美, ’25년부 중국産 텅스텐 관세 부과 발표 ② 월간 공급망 - 주요국 전기차 관련 정책 동향 및 시사점 ③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을 .. 2024. 12. 24.
[일본] 자원에너지청, 제7차 에너지기본계획(원안) 발표 ㅇ 경제산업성과 자원에너지청은 지난 12월 17일, 중장기 에너지정책의 방침을 담은 '제7차 에너지 기본계획'의 원안을 발표ㅇ 2040년도 전력원 구성 전망에서는 재생에너지를 주력 전력원으로 하고, 전력원 구성 비율을 40~50%로 설정ㅇ 원자력은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가능한 한 의존도를 낮출 것'이라는 문구는 삭제하고 20% 정도의 비율을 목표로 함ㅇ 무토 경제산업대신은 "반도체 등 미래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산업은 탈탄소 전원이 필요하다. 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지가 국력을 좌우한다."고 강조 ▶ 원문보기https://www.nikkan.co.jp/articles/view/00734570 エネ庁、「エネルギー基本計画」原案公表 再生エネを最大電源に経済産業省・資源エネルギー庁は17日、中長期のエネルギー政.. 2024. 12. 24.
24년 11월, 中 철도화물발송 실적 3억 5천만 톤, 전년 동기 대비 5.5%↑ □ '24년 11월, 中 철도화물발송 실적 3억 5천만 톤, 전년 동기 대비 5.5%↑ ㅇ 11월 중국철도의 일일 평균 적재량 19만 4천 대로 사상 최고치 기록.ㅇ 11월 석탄발송 실적은 1억 84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 그중 전기용 석탄발송은 1억 3,2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 * 원문기사 링크:  https://www.gov.cn/yaowen/liebiao/202412/content_6994195.htm 2024.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