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세계 에너지 시장119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제재에 따른 러시아 생산량 축소 등 상승 요인과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세계 경제 둔화 우려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보합세를 나타냄.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제재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러시아는 원유생산을 축소해 대응할 것으로 전망됨(Reuters, 2.12).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 여파로 유조선이 부족하여 원유 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제시설 공격으로 자국 내 정제능력이 감소함. 익명의 러시아 석유기업 임원들에 따르면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단기적으로 9백만b/d 이하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재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량은 더욱 축소될 것을 전망됨. ※ IEA에 따르면 러시아는 2.. 2025. 2. 20.
한-체코 에너지기술포럼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025. 2. 18(화) 09:30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루카쉬 블첵(Lukáš Vlček)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 페트르 콘발린카(Petr Konvalinka) 체코 기술청장, 이승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을 비롯한 한-체코 양국 정부 관계자 및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양국 간 무탄소 에너지 분야 기술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한-체코 에너지기술포럼」에 참석하여, 환영사를 통해 “체코는 중부유럽의 제조 강국으로 양국 기업의 역량을 잘 결합한다면 탄소중립이라는 도전 속에서도 오히려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에너지 분야에서도 양국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동연구를 지속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 2. 20.
제2차 한-체코 공급망에너지 대화 합의의사록 서명식 제2차 한-체코 공급망에너지 대화 합의의사록 서명식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25. 2. 17(월) 11:30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 메이플홀에서 루카쉬 블첵(Lukáš Vlček)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을 비롯한 한-체코 양국 정부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한-체코 공급망에너지 대화 합의의사록 서명식」을 가졌다. 원문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포토뉴스 2025. 2. 18.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와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미국의 이란 원유수출 관련 추가 제재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25%(캐나다 에너지 10%),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나, 3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부과를 30일 유예함(Reuters, 2.3). -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에너지 시장을 교란할 수 있으므로 유가의 상승 요인이지만, 미국의 보편 관세 확대는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유가 하락 요인임. ※ 미국의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 정제량은 각각 380만b/d, 45.7만b/d로 전체 정제량의 1/4을 차지∙ 중국 정부는 미국의 중국에 대.. 2025. 2. 12.
[이스라엘] 이스라엘 전기의 14%만이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 -2024년 기준 유럽 연합은 전력 생산 48%를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하여, 14% 인 이스라엘 크게 앞섬 -이스라엘 전력 구성, 천연가스 71%, 석탄 14%, 재생 에너지 14% -이스라엘 정부의 2025년 20% 재생 에너지 대체 목표 달성 가능성이 낮아 16%에 그칠 것으로 전망 -정부의 복잡한 규제, 인프라 부족, 자유 시장 활성화 실패 등이 주요인 -한편, 2024년 이스라엘 전기차 판매 비중은 27%, 유럽 연합(20%) 상회, 전기버스 전년 대비 20% 증가 *원문 기사 링크: https://www.calcalistech.com/ctechnews/article/2572qjusa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2. 5.
[슬로베니아] 전기차 판매량 급감,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인기 □ 슬로베니아 전기차 판매량 급감,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인기   ㅇ 2024년전기차 판매량, 전년 대비 약 38% 감소. 총 3,142대가 신규 등록      - 이는 전체 신규 등록 승용차 중 약 6%에 해당, 슬로베니아 국가 기후 계획의 최소 목표치인 3,951대에도 미치지 못함      -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전기차로, 각각 446대와 390대가 신규 등록됨      - Cupra Born은 304대로 그 뒤를 이음      - MG 4와 Volkswagen ID.3는 각각 138대로 공동 4위를 차지함   ㅇ 전기차 판매 감소의 주요 원인, 높은 차량 가격과 소비자들의 구매 망설임      - 전기차는 여전히 내연기관 차량보다 가격이 높아 소비자들의 구.. 2025. 2. 5.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ㅇ 원전 운영 국영기업 Gen Energija, 최종 후보로 프랑스 EDF와 미국 Westinghouse 선정 발표       - 한국수력원자력(KHNP), Krško 2 원자로 건설 사업에서 제외       - 슬로베니아 정부, 중국 및 러시아 원전 기술 배제 방침 유지   ㅇ KHNP 탈락으로 최종 후보 원자로 유형 3가지로 축소       - Westinghouse: 1,000MW급 가압경수로(AP 1000)       - EDF: 1,200MW 및 1,650MW급 유럽 가압경수로(EPR 1200, EPR 1650)       - Gen Energija, 경쟁이 여전히 충분하며 선택 과정 간소화 기대   ㅇ Krško 2 프로젝트 예상 비.. 2025. 2. 5.
2024년 중국은 러시아산 석유 및 LNG 수입 확대 ㅇ 중국은 2024년에 러시아산 석유 1억 850만 톤(624억 2천만 달러) 수입(전년 대비 1.3% 증가)ㅇ 또한 러시아산 LNG 수입은 830만 톤(49억 9천만 달러) 기록(전년 대비 3.3% 증가)ㅇ 이로써 러시아는 중국의 △석유 수입에서 1위, △LNG 수입에서 3위를 차지 [원문링크: https://www.rbc.ru/rbcfreenews/678dc1469a7947531044d64b]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1. 23.
독일 전력 시장 현황과 2025년 에너지 분야의 주요 과제 독일은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전력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에서는 전체 발전량의 59%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하며, 에너지 전환의 진전을 보여줬다. 그러나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 전력망 안정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 그리고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독일 전력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2025년 에너지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들도 짚어봤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 현황 지난해 독일에서는 총 431.7TWh의 전기가 생산됐는데, 이는 2023년(450.5TWh)에 비해 4.2% 감소한 수치다. 발전 에너지원 중 재생에너지원에 의한 발전량은 254.9T.. 2025. 1. 23.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1월 셋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 발표의 영향 지속 등으로 상승했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 소식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발표(1월 10일)로 주요 러시아 원유 수입국인 중국과 인도의 수입 차질이 예상되면서 유가는 4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함(Reuters, 1.13)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 메이저 석유회사 2개사(Gazprom Neft, Surgutneftegas)와 소위 ‘그림자 선단’으로 불리는 선박 183척에 대한 제재를 포함하는 강력한 러시아 제재안을 발표함.  ※ G7은 러시아의 석유판매수입 억제를 목적으로 2022년 12월부터 $60/배럴 이상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원유에 대해 선박 및 보험서비스 제공을 금지하는 내.. 2025. 1. 22.
인도 석유 공급망의 이해, 정부 수출 활성화 전략을 통해 인도 석유 원자재 수입과 석유 제품 수출 현황  Commodity Insights에 따르면 유럽연합과 영국이 2023년 러시아 디젤을 금지한 이후 유럽으로의 인도 석유 제품 수출이 급증하였으며, 지난 10월 수출은 하루 평균 21만5000 배럴에 달했다. 이는 9월 최고치인 28만2000 배럴에서 하락한 수치이며, 11월 수출은 10만4000 배럴으로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 홍해를 포함한 물류 문제가 희망봉을 경유하여 화물을 재운송하여 해결된 이후 인도 정유업계가 유럽과 지중해로의 선적을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대유럽 제트 연료 수출은 5월 12만6000 배럴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했다. 인도는 2022년 2월 이래로 두 번째로 큰 러시아 원유 구매국이 되었다. 총 수입 원유의 1%.. 2025. 1. 17.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경쟁과 한국 리튬 공급망 다변화 대안으로의 아르헨티나 리튬 HS코드 리튬은 상온에서 고체인 알칼리 금속으로, 전기 전도성이 매우 높아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필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글로벌 넷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전기차 보급 확산과 더불어 급격한 리튬 수요 증대로 점차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핵심 원료다. 탄산리튬의 HS코드는 2836.91.00, 수산화리튬의 HS코드는 2825.20.20, 산화리튬의 HS코드는 2825.20.10이다.  아르헨티나 리튬 수출 관련 규제 및 정책, 글로벌 리튬 가격 및 수급 동향 (1) 아르헨티나 리튬 수출 관련 규제아르헨티나는 리튬 자원의 중요한 공급국으로, 아르헨티나의 리튬 수출관세는 4.5%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리튬 자원의 개발 및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 .. 2025. 1. 17.
몽골 공급망, 우라늄과 희토류로 열어가는 경제 다변화의 길 몽골 광물 시장과 라이선스 현황 몽골은 석탄, 구리, 금, 희토류 등 다양한 광물이 풍부하여 세계에서 자원이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 산업 자원부에 따르면, 현재 구리 5,650만 톤, 석탄 366억 톤, 철광석 18억 톤의 확인된 매장량이 공식적으로 보고되었다. 광업 및 산업 자원 부문은 몽골 경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의 30%, 국가 예산 수입의 37%, 총 수출 수익의 94%, 외국인 직접 투자(FDI)의 82%, 그리고 산업 부문 생산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 경제가 광업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몽골 정부는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여 광업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몽골.. 2025. 1. 13.
새롭게 부상하는 천연가스 글로벌 공급망, UAE 가스 산업 동향 천연가스(271111) 미국 에너지관리청인 EIA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UAE는 2023년 기준 UAE는 약 290조 입방피트(Cubic Feet)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의 273조 입방피트 대비 6.2% 증가한 수치이다. 전 세계 매장량 순위에 대한 최신 통계는 찾아볼 수 없지만, UAE측 발표에 따르면 UAE는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규모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이다.  UAE 천연가스 생산 동향 2014년부터 2023년 사이 최근 10년간 UAE의 천연가스 연간 평균 생산량은 약 540억 입방미터(Cubic Meter)이며 동 기간 동안의 평균 소비량은 약 666억 입방미터로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AE는 액화천연가스(LNG) 형태의 가스 수.. 2025. 1. 13.
칠레 국가리튬전략 및 이행현황 칠레 광업 개요 및 광물자원 현황     o 칠레에서 광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 11.9%으로 전력, 용수, 제조, 운송 등         연관 산업에 대한 수요 창출 효과로 인해 국가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023년         광산물 총 수출액은 530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56%를 차지하고 광업 직접 고용인력은 28.7만 명으로         추산된다.      o 한편, 광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광물수요 감소, 가격하락, 환율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국가경제 전체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정치,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도전과제뿐         아니라 구리 품질 저하, 생산비용 증가, 수자원 부족 .. 2025.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