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165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제재에 따른 러시아 생산량 축소 등 상승 요인과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세계 경제 둔화 우려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보합세를 나타냄.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제재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러시아는 원유생산을 축소해 대응할 것으로 전망됨(Reuters, 2.12).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 여파로 유조선이 부족하여 원유 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제시설 공격으로 자국 내 정제능력이 감소함. 익명의 러시아 석유기업 임원들에 따르면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단기적으로 9백만b/d 이하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재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량은 더욱 축소될 것을 전망됨. ※ IEA에 따르면 러시아는 2.. 2025. 2. 20.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와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미국의 이란 원유수출 관련 추가 제재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25%(캐나다 에너지 10%),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나, 3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부과를 30일 유예함(Reuters, 2.3). -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에너지 시장을 교란할 수 있으므로 유가의 상승 요인이지만, 미국의 보편 관세 확대는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유가 하락 요인임. ※ 미국의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 정제량은 각각 380만b/d, 45.7만b/d로 전체 정제량의 1/4을 차지∙ 중국 정부는 미국의 중국에 대.. 2025. 2. 12.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1월 셋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 발표의 영향 지속 등으로 상승했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 소식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발표(1월 10일)로 주요 러시아 원유 수입국인 중국과 인도의 수입 차질이 예상되면서 유가는 4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함(Reuters, 1.13)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 메이저 석유회사 2개사(Gazprom Neft, Surgutneftegas)와 소위 ‘그림자 선단’으로 불리는 선박 183척에 대한 제재를 포함하는 강력한 러시아 제재안을 발표함. ※ G7은 러시아의 석유판매수입 억제를 목적으로 2022년 12월부터 $60/배럴 이상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원유에 대해 선박 및 보험서비스 제공을 금지하는 내.. 2025. 1. 22. 국제유가 및 시장 동 10월 셋째 주 국제 유가는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완화, OPEC과 IEA의 올해 석유수요 전망치 하향 조정, 중국 원유정제량 감소, 리비아 원유 수출 회복 등으로 하락함.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10.1)에 대한 보복 공격으로 이란의 핵시설 및 석유시설은 고려하지 않다고 미국에 전한 것으로 알려짐(Reuters, 10.16). 기존 강경한 메시지를 내던 이스라엘이 이처럼 입장을 선회한 것은 미국이 이스라엘에 사드(THAAD)등 추가 병력을 배치하기로 한 결정이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됨(WP, 10.14).OPEC은 14일(월) 발표한 월간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석유수요 증가치를 10만b/d 하향한190만b/d로, 내년도 석유수요 증가는 기존 170만b/d에서 160만b/d.. 2024. 10. 24.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1012호, 2024.10.15) 10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지속과 사우디의 공식판매가격 인상 등으로 상승했고, 미국 원유재고 증가와 EIA의 세계 석유수요 전망치 하향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이란의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10월 1일) 이후 이스라엘의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그 대상에 이란 석유시설이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됨(Reuters, 10.7) 이란 외교부 장관은 이스라엘이 이란의 하부구조에 대한 공격을 시행하면 강력한 보복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함(Reuters, 10.8).New York Times와 Jerusalem Post는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이 이란의 군사 및 정보 시설을 겨냥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함(CNBC, 10.8). 로이터 통신은 중동 국가들이 미국에 이스.. 2024. 10. 16.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1011호, 2024.10.8) 10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무력 충돌 가능성으로 상승했으나, 중국의 경기회복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이란이 헤즈볼라를 상대로 한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에 대한 보복으로 200여발의 탄도 미사일을 이스라엘로 발사하며 중동 지정학 리스크가 재차 고조됨(Reuters, 10.1, 10.2, 10.3). 이란의 공격은 이스라엘 내 주요 공군기지를 목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실제 이스라엘의 Nevatim 공군기지 활주로 및 격납고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이스라엘 사상자는 없는 것으로 전해짐. -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는 이번 이란의 공격을 "큰 실수"라고 지적하며 즉각적인 보복을 다짐했고 미국 백악관도 이스라엘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재확인함.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2024. 10. 10. 다양한 상황 상정해 비상시 에너지 수급 방안 마련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으로 중동의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정유사,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공사, 가스공사와 함께 석유‧가스 수급 상황과 국내외 유가 영향 등을 점검했습니다. 산업부는 현재까지 원유와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에 차질이 없고 운항 상황도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에너지 도입에 있어 중동 의존도가 높고 안정적 수급에 있어서도 이 지역의 중요성이 매우 큰 만큼 다양한 상황을 상정해 비상시 수급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4월 15일 오후 12시 현재 국제유가는 전 거래일 대비 0.31% 하락한 배럴당 90.17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편, 산업부는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이 시작된 직후 석유‧가스, 무역, 공급망 등 전 분야에 걸친.. 2024. 4. 19.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2022.08.09) 8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세계 경기침체 우려와 리비아 원유생산 회복, 미국 원유재고 증가 등으로 하락했고, 소폭의 OPEC+ 생산목표 상향 조정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 주요국의 7월 제조업 활동 지수가 하락하면서 세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심화됨(EI, 8.1). - 중국 국가통계국(NBS)은 중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0으로 전월(50.2)보다 하락했다고 발표함(Xinhua, 7.31). ※ PMI는 5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일 경우 확장, 그 이하일 경우 축소를 나타냄. -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미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2.8로 전월(53.0)에 비해 하락하며 2020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Bloomberg, 8.1). ∙ 리비아.. 2022. 8. 11. 2022년07월14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14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95.78달러/배럴 전일대비 ↓0.52 (-0.54%)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99.10달러/배럴 전일대비 ↓0.47 (-0.47%) ICE 기준 2022. 7. 15. 2022년07월13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13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96.30달러/배럴 전일대비 ↑0.46 (+0.48%)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99.57달러/배럴 전일대비 ↑0.08 (+0.08%) ICE 기준 2022. 7. 14. 2022년07월12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12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95.84달러/배럴 전일대비 ↓8.25 (-7.92%)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99.49달러/배럴 전일대비 ↓7.61 (-7.11%) ICE 기준 2022. 7. 13. 2022년07월11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11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104.09달러/배럴 전일대비 ↓0.70 (-0.66%)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107.10달러/배럴 전일대비 ↑0.08 (+0.07%) ICE 기준 2022. 7. 12. 2022년07월08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08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104.79달러/배럴 전일대비 ↑2.06 (+2.00%)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107.02달러/배럴 전일대비 ↑2.37 (+2.26%) ICE 기준 2022. 7. 11. 2022년07월07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07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102.73달러/배럴 전일대비 ↑4.20 (+4.26%)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104.65달러/배럴 전일대비 ↑3.96 (+3.93%) ICE 기준 2022. 7. 8. 2022년07월06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2022년07월06일(현지시간) 국제유가 시세 WTI(서부텍사스유) 98.53달러/배럴 전일대비 ↓0.97 (-0.97%) NYMEX (뉴욕상업거래소) 기준 브렌트유 100.69달러/배럴 전일대비 ↓2.08 (-2.02%) ICE 기준 2022. 7. 7. 이전 1 2 3 4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