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IEA의 미래 에너지안보 정상회의 주요 논의
▶ IEA와 영국 정부는 2025년 4월 런던에서 ‘미래 에너지안보 정상회의’를 공동 개최하고, 60개국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변화하는 에너지안보 개념과 정책 방향을 논의함. ▶ 에너지안보는 공급 안정성을 넘어 기후·경제·디지털 위험을 포괄하는 통합적 개념으로 재정립되고 있으며, ‘공급 다변화(diversification),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 국제협력(cooperation)’의 원칙하에 전체 시스템적 접근이 요구됨. ▶ 이번 회의에서는 전기화, 청정기술 보급 확산, 공급망 병목, 기후재난 등 새로운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정책 방향이 제시됨. ▶ IEA는 에너지안보 정책 수립에 있어서 6대 원칙(전체 시스템적 접근, 공급망 다변화, 회복탄력성과 유연성, 접근성과 경제성, 지속가능성..
2025. 5. 22.
세계 에너지부문별 AI 활용과 효과 전망
▶ 최근 세계 에너지 환경변화 특성은 전력화(electrification), 디지털화(digitalisation), 복잡성(complexity), 비용압박(cost pressure), 지속가능(sustainable) 정책목표의 강화로 요약 될 수 있음. ▶ 이러한 변화들은 AI 도입에 우호적인 환경으로 작용하면서 에너지 기업들의 AI를 활용 유인이 커지고 있으며, 실제로 AI는 에너지 시스템 최적화,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효율성 제고, 배출감축, 등 에너지시스템 전반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 석유·가스 기업은 탐사・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신기술 도입에 있어 가장 빠른 수용자로서 2010년 이후 슈퍼컴퓨터 도입이 확대 되면서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광범위한 AI 도입 시나리오..
2025.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