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ENERGY KOREA1157

대성에너지,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참가 도시가스 및 친환경 에너지 종합 기업 대성에너지㈜가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 참가해 수소, 연료전지, CNG 충전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 이와 함께 에너지 분야의 첨단 기술과 노하우,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구축, 에너지 복지 실현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도 공유할 예정이다. 대성에너지는 대구광역시, 경북 경산시, 고령군, 칠곡군 등 대구·경북 지역 약 123만 세대에 도시가스를 공급해 왔다. 현재 대구 성서, 관음, 하양(5월 말 상업운전 개시 예정) 지역에서 3개의 수소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탄소 중립을 위한 수소차 보급 정책에 발맞춰 향후 충전소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12개의 CNG 충전소 운영과 연료전.. 2025. 4. 17.
EU, 2040년 기후목표 설정에 역외 탄소크레딧 인정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 EU, 2040년 기후목표 설정에 역외 탄소크레딧 인정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대비 90% 수준으로 감축하겠다는 EU의 2040 기후목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음. ‒ EU 집행위원회는 당초 1분기 내로 ‘유럽 기후법(European Climate Law)’ 개정을 통해 2040 기후목표를 제시할 계획이었으나, 회원국 간 이견 차이로 인해 계획이 지연되고 있음. ‒ Wopke Hoekstra EU 집행위 기후담당 위원은 여름 이전까지 목표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발표가 수개월 더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함. ‒ 이번 발표 지연은 EU의 2040년 목표 설정뿐만 아니라 각 회원국이 UNFCCC에 제출해야 하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도 영향을 미칠 .. 2025. 4. 17.
2024년 세계 에너지 소비 분석(IEA) ▶ 세계 에너지 소비는 2024년에 2.2% 증가한 650엑사줄(EJ)에 달했으며, 선진국의 에너지소비 증가, 극단적인 기상 현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음. ▶ 세계 석유 소비는 2024년에 전년 대비 0.8%(83만b/d, 1.5EJ) 증가한 193EJ에 달해 소비 증가세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직후 경제주체들의 이동증가 현상 종료, 산업부문 성장 둔화, 전기차 보급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음. ▶ 세계 가스 소비는 2024년에 전년 대비 2.7%(115Bcm. 약 4EJ) 증가해 화석연료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의 3/4 이상이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함. ▶ 세계 석탄 소비는 2024년에 1.1%(6,700만tce) 증가했으며, 2021년 이후로 소비 .. 2025. 4. 16.
세계 천연가스 수급 동향 및 2025년 전망(IEA) ▶ 2024년 세계 천연가스 수요는 전년 대비 2.8% 증가함. 이는 2010년∼2020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2.0%)을 상회하는 수준이며, 수요 증가분의 40%는 아·태지역이 주도함.▶ 산업 및 에너지 부문 자체 천연가스 소비가 성장을 주도하며, 수송 및 발전 부문의 석유에서 가스로의 대체도 수요 증가에 기여함. 다만, 이상기온 현상에 따른 수요 민감 정도는 높아지고, 가변적인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에 대한 백업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강화됨. ▶ 2024년에 전세계 LNG 공급은 전년 대비 2.5% 증가하였으며, 이는 2016년∼2020년 중 연평균 증가율(8%)에 비해 매우 낮았음. 신규 프로젝트 부족과 기존 시설의 가동 중단 혹은 감산이 주요 원인이었음. 2025년에는 북미 등에서의 신규 프로젝트 가.. 2025. 4. 16.
IEA(국제 에너지 기구) 부사무총장 면담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025. 4. 10(목) 14:00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메리 브루스 워릭(Mary Burce Warlick) IEA 부사무총장과 면담을 갖고, 글로벌 에너지 시장 변화 및 대응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원문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포토뉴스 2025. 4. 15.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MOU 체결식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25. 4. 14(월,현지시간) 10:40 베트남 하노이 산업무역부 회의실에서 응우옌 홍 디엔(Nguyen Hong Dien)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을 비롯한 한-베트남 양국 정부와 기업의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전력공사와 베트남 국영송전망공사(EVNNPT) 간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협력을 위한 MOU 체결식’에 임석하였다. 원문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포토뉴스 2025. 4. 15.
공공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전력 등 공공기관과 함께 공공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산업‧에너지 데이터와 미래 기술과의 만남’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공모전에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등 미래기술을 활용한 출품작에는 가점을 부여합니다. 4월 14일부터 7월 14일까지 3개월 동안 ▲아이디어 기획 ▲제품과 서비스 개발 ▲데이터 분석과제 해결 부문에서 공모작을 접수하고, 이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발표평가를 거쳐 오는 8월 최종 수상자를 결정합니다. 수상자에게는 상장(장관상, 기관장상)과 함께 총 1억원 규모의 상금을 지급(21개팀)하고, 대상·최우수 수상자에게는 한국전력 채용 우대 혜택을 제공합니다. 또 사업화를 원할 경우 컨설팅과 연구공간 제공 등을 적.. 2025. 4. 15.
2025 오사카 엑스포 한국관 개관 2025 오사카 엑스포 한국관이 13일 일본에서 개관했습니다. 이날 개관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코트라 사장, 주오사카 총영사 등 한국 측 주요 인사와 오사카부 지사 등 일본 정부 및 조직위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2025 오사카 엑스포는 ‘생명이 빛나는 미래 사회 디자인 (Designing Future Society for Our Lives)’ 이란 주제로 4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6개월간 일본 오사카 유메시마에서 158개국과 국제기구가 참가한 가운데 개최됩니다. 3500여㎡의 대형 부지에 조성된 한국관은 전면에 대형 미디어파사드(27m×10m)를 설치해 관람객의 이목을 끌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또 백색 마감재, 디자인요소(한산모시, 한복저고리, 청사초롱 등) 등을 적용해 한국적 특.. 2025. 4. 15.
2030년 휴머노이드 분야 글로벌 최강국 도약 2030년 휴머노이드 분야 글로벌 최강국 도약을 목표로 대한민국 드림팀이 뭉쳤습니다. ‘K-휴머노이드 연합’이 10일 출범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서울대‧카이스트‧고려대‧연세대‧포항공대‧부산대 등의 교수진과 레인보우로보틱스‧에이로봇‧원익로보틱스 등 로봇 관련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습니다. K-휴머노이드 연합의 주요 미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봇 공용 인공지능(AI) 모델 개발로봇의 두뇌에 해당하는 로봇 AI를 개발합니다. 서울대 AI 연구소를 중심으로 카이스트, 고려대, 연세대 등 국내 최고 AI 연구진들이 머리를 맞댑니다. 로봇 제조사와 부품사들은 자체 개발한 로봇과 행동 데이터, 로봇에 AI 탑재 후 피드백 등을 연구진에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2028년까지 로봇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2025. 4. 15.
소부장 초격차 기술 확보에 600억원 지원 산업통상자원부가 소부장 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600억원을 지원합니다. 산업부는 그동안 200대 소재·부품 분야를 중심으로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해 왔습니다. 이 외에도 산업현장의 과감한 도전과 기술혁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 미래소재 분야에 대해서도 이 사업을 추진하게 됐습니다. 산업부는 공정·실증을 위한 연구 시설과 장비 구축을 지원하고 신규 사업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초기 단계부터 성과 평가와 관리, 사업 점검을 해 나갈 계획입니다. 여기에는 6개 과제에 과제당 4년간 100억원, 총 600억원을 지원합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홈페이지에서 .. 2025. 4. 15.
美 자동차 관세 대응…긴급 대책 마련 미국의 25% 관세 부과 조치로 충격이 예상되는 국내 자동차산업에 정책금융 2조원이 추가 공급됩니다. 현대‧기아차도 힘을 보태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가동, 협력사의 대출‧보증‧회사채 발행 등을 돕습니다. 정부는 9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의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국내 자동차산업의 대미 수출 규모는 지난해 기준 자동차 347억 달러, 차부품 82억 달러에 달합니다. 우리나라 대미 수출 1위 품목이 바로 자동차와 차부품인 것입니다. 따라서 미 정부의 25% 관세 부과 조치는 국내 자동차산업에 상당한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업계는 긴급 자금지원, 투자 인센티브 제공, 내수시장 진작, 수출 다변화 지원, .. 2025. 4. 15.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 산업통상자원부가 7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따른 국내 수급 동향과 영향을 점검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4일 디스프로슘, 이트륨, 사마륨 등 희토류 7종을 수출 통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같은 조치는 수출 금지가 아닌 수출 허가 절차가 추가된 것으로 기존 통제 품목인 흑연, 갈륨 등과 함께 중국 상무부의 수출 허가 후 국내 수입이 가능합니다. 업계 영향 점검 결과 주로 전기차용 영구자석 첨가제로 사용되는 디스프로슘과 합금 첨가제 등에 사용되는 이트륨은 6개월분 이상의 공공 비축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 화학 촉매로 사용되는 루테튬의 경우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팔라듐 기반 촉매를 주로 사용해 수출 통제 영향이 제한적이란 분석입니다. 영구자석용 테르븀은 디스프로슘 첨가량을 늘려 대응 가능하며, 형.. 2025. 4. 10.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월 넷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베네수엘라 추가 제재와 의 감산 계획 등의 영향으로 , - OPEC+상승했고 러우 사태 휴전으로 인한 러시아 제재 완화 가능성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중략 원문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 국제유가 2025. 4. 8.
미국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석유화학 업계 간담회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025. 4. 7(월) 14:00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회의실에서 LG화학, SK지오센트릭, 금호석유화학 등 석유화학 관련 업계와 협·단체 및 지원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미국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석유화학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인사말을 한 후 ‘미국 상호관세 조치에 따른 국내업계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등을 논의하였다.  원문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포토뉴스 2025. 4. 8.
미 관세 피해 기업 대상 바우처 사업 개시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KOTRA)가 미국 관세 조치 피해(우려) 기업 지원에 나섰습니다. 2일부터 ‘관세 대응 바우처’ 참여 기업 모집에 나선 것입니다. 국내 또는 중국‧캐나다‧멕시코 생산거점에서 미국으로 직수출하는 기업 등이 우선 지원 대상 기업입니다. 이 사업의 핵심은 코트라 해외무역관이 검증한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관세 대응 패키지’ 서비스를 중점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관세대응 패키지는 ▲피해 분석 ▲피해 대응 ▲생산거점 이전 ▲대체시장 발굴 4가지 분야 총 500여 개 신규 서비스로 이뤄져 있습니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은 ▲현지 법무법인과 연계한 관세 피해 분석 컨설팅 ▲부동산 전문기관을 활용한 생산거점 이전 후보지 조사 및 추천 ▲해외 생산 파트너(OEM) 발굴 조사 ▲대체시장 진출.. 202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