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시멘트2

중국, 전국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에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3개 업종 정식 편입 중국, 전국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에 시멘트, 철강, 알루미늄 3개 업종 정식 편입 중국 생태환경부는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 3개 업종을 전국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에 정식 편입한다고 발표함. ※ 중국은 2011년 상하이, 베이징 등 7개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범운영하였음.2017~2020년에는 발전부문에서 탄소배출권 시장을 시범운영하였으며, 2021년 7월 16일에 전국 규모의 탄소배출권 시장(발전부문)을 정식 개장함. ‒ 이로 인해 2021년 7월에 전국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개장된 이후 처음으로 기존 발전 업종에서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등의 업종으로 확대됨. ‒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업종은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업종으로 연간 배출량은 약 30억t CO2eq에 달하여 .. 2025. 4. 21.
시멘트 생산량 증가 추세 4월 들어 시멘트 생산량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시멘트 생산량은 97만톤으로 3월 마지막 주에 비해 4만톤 증가했습니다. 가동 중인 생산설비도 24기에서 28기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출하량은 5만톤 감소했는데, 이는 주중에 내린 비로 작업이 일시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산업부는 14일 한국시멘트협회에서 쌍용 C&E 등 7개 시멘트 생산업체가 참석한 가운데 시멘트 수급현황 점검회의를 개최, 생산량 증가를 위해 적극 노력해줄 것을 업계에 요청했습니다. 업체들은 보수 시기를 하반기로 조정하고 돌발 보수에 대해서도 수리 시간을 최소화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산업부는 최근 반복되고 있는 봄철 성수기 시멘트 수급 부족.. 2023.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