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에너지시장2

2023년 세계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집약도 ▣ 에너지 효율 정책 확대에도 세계 에너지 집약도 성과는 둔화 ¡ 현재 정책결정자들은 에너지 효율에 상당히 집중하고 있으나 효율 개선도는 둔화하고 있음. ‒ 에너지 안보와 가격 적정성 강화,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에서 에너지 효율의 역할이 중요해짐. ‒ 그러나 2023년 추정 에너지 집약도 개선율이 2022년의 2%에서 1.3%로 떨어짐. ※ 에너지 집약도는 GDP 생산에 이용된 1차에너지의 양으로 정의되며, 에너지 효율 개선도 추적을 위한 주요 지표임. ‒ 또한, 2023년 에너지 수요가 1.7% 상승한 점을 통해서도 에너지 집약도 개선율 이 낮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2023년 세계 에너지 효율 개선도는 둔화되었으나, 에너지 위기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에너지 전환 및 효율 개선이 가속화되었음. .. 2024. 1. 22.
중국 천연가스 수급 2022년 실적과 2023년 시장 전망 ▶ 2022년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364.6Bcm으로 전년대비 1.2% 감소했으며, 1차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천연가스 비중은 전년보다 0.5%p 감소한 8.4%를 기록함. 중국 천연가스 생산량은 220.1Bcm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하였는데, 그 중 셰일가스가 약 24Bcm을 차지함. ▶ 2022년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은 150.3Bcm(PNG 62.7Bcm, LNG 87.6Bcm)으로 전년 대비 9.9% 감소하였음. 그러나 PNG 수입은 러-우 사태 이후 러시아로부터의 수입 증대로 인해 7.8% 증가했고, LNG 수입은 국제시장에서 가스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19.5% 감소하였음. ▶ 2023년 상반기 천연가스 소비량은 194.1Bcm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5.6% 증가, 같은 기간 천연..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