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세계 에너지 시장

몽골의 그린수소 개발 전략과 추진과제

by 대성에너지 2025. 9. 10.

▶ 몽골은 2.6TW의 재생에너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그린수소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투자 유치와 수자원 자원 확보가 핵심 과제임. 특히 재생에너지 잠재력과 주요 공급지역은 남부에 있지만, 수자원은 북부에 위치함. 

 

▶ 몽골의 그린수소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부문의 투자매력 증대, ‘일관성·투명성·신뢰성 부족 해소, 전력구매계약(PPA) 체계 개선 등이 요구됨. 몽골은 주변 경쟁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비슷하게 외국인투자에 상당히 개방적이라는 특징이 있음.

 

▶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는 북부에서 남고비지역으로 물 공급망 구축,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거버넌스 구축, 폐수 재활용 기술 도입, 그리고 수자원-그린수소 연관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이 필요함.

 

▶ 그린수소 관련 국제 표준 및 인증 체계와의 정합성 확보를 통해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정부-민간 협력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함.

 

▶ 몽골의 지리적·기술적 여건을 고려할 때, 남부의 그린수소는 400km 떨어진 중국 북부의 철강산업단지로 액화수소 또는 암모니아 형태로 전환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출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음.

 

중략

 

원문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KEEi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