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전기차배터리3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2024. 6. 18(화) 16:00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 임상준 환경부 차관을 비롯한 관련 관계부처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협회 및 기업 대표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를 주재하고, 인사말을 한 후 정부와 업계가 함께 협업하는 ‘민관 공동 협의체 출범식’을 갖고,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원문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경제뉴스 2024. 6. 24.
미, 전기차배터리 수요증가 및 IRA로 수십 년 만에 신규 코발트광산 조업개시 배터리 제조용 원자재에 대한 자동차 제조사의 수요 증가 및 배터리 공급망 촉진을 위한 법안 제정 등으로 미국에서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코발트 광산에서 조업이 시작되었음. ‒ 해당 코발트 광산은 호주 Jervois Global社가 소유하고, 아이다호州 Salmon River Mountains의 해발 8,000피트에 위치함. ‒ Jervois Global社의 Bryce Crocker CEO에 의하면, 동 광산에서 2023년 2월부터 최대 생산이 가능할 것이며, 코발트 생산량은 연간 2,000톤에 달해 규모는 비교적 작은 편이나 미국 내 위치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금년 8월 통과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은 기후변화 대응에 세액공제 제.. 2022. 11. 4.
국토교통부, 규제개선으로 전기차 배터리 대여시장 연다 건설·건축분야 등 기업활동과 국민생활에 밀접한 규제개선 과제 발굴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7월 28일 제2회 국토교통 규제개혁위원회(위원장 원숙연)를 개최하여 전기차 배터리 구독 서비스 도입 등 국토교통 분야 규제개선안을 마련·추진하기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 규제개혁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원희룡 장관이 지난 7월 6일 규제개혁의 주도권을 민간에 이양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출범한 위원회로, 이번 제2회 위원회를 통해 처음으로 규제개선안을 심의·의결하였다. 이번 위원회에서 추진하기로 한 주요 규제개선 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전기차 배터리 구독서비스의 시장진출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등록원부를 개선한다. ㅇ 최근 전기차 보급 확산에 따라 여신전문금융업계는 전기차 장치 중 가장 고가이면서 핵심장치인 .. 2022.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