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전망6

IEA, 2025년 세계 청정 기술에 대한 투자가 역대 최고치 기록할 것으로 전망 IEA, 2025년 세계 청정 기술에 대한 투자가 역대 최고치 기록할 것으로 전망IEA는 ‘2025년 세계 에너지 투자(World Energy Investment 2025)’를 발간하면서(2025.6.5.),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2025년 에너지 부문 투자 규모가 3조 3,000억 달러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함. 재생에너지, 원자력, 전력망, 에너지 저장설비, 저배출 연료, 에너지 효율, 전기화 부문에 대한 투자는 총 2조 2,000억 달러로, 석유, 가스, 석탄 부문 투자(총 1조 1,000억 달러)의 두 배에 달할 것임. ・ 경제 및 무역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이 신규 프로젝트 승인에 대해 관망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기존 프로.. 2025. 6. 26.
2024년 세계 전기자동차 산업 동향 및 전망 ▶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2024년에 1,700만 대를 돌파해 전년 대비 25% 이상(350만 대) 증가했으며, 2024년 판매 증가분이 2020년 전체 판매량을 초과했음.▶ 중국시장이 계속해서 전기차 판매 증가를 주도했으나,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에서의 2024년 전기차 판매량도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함. ▶ 2025년 1분기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400만 대를 초과해 전년 동기 대비 35%(100만 대) 증가했음. 이 중 약 60%가 중국에서 판매되었으며, 유럽 및 미국의 전기차 판매량도 증가세를 유지했음. ▶ 지난 10년간 전기차 판매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구매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의 정부 지원은 감소해 왔으며, 2022년부터 보조금이 단계적으로 폐지됨.. 2025. 6. 25.
2024년 세계 전기자동차 산업 동향 및 전망(IEA) ▶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2024년에 1,700만 대를 돌파해 전년 대비 25% 이상(350만 대) 증가했으며, 2024년 판매 증가분이 2020년 전체 판매량을 초과했음. ▶ 중국시장이 계속해서 전기차 판매 증가를 주도했으나,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에서의 2024년 전기차 판매량도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함. ▶ 2025년 1분기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400만 대를 초과해 전년 동기 대비 35%(100만 대) 증가했음. 이 중 약 60%가 중국에서 판매되었으며, 유럽 및 미국의 전기차 판매량도 증가세를 유지했음. ▶ 지난 10년간 전기차 판매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구매 보조금과 세제 혜택 등의 정부 지원은 감소해 왔으며, 2022년부터 보조금이 단계적으로 폐지.. 2025. 6. 19.
2024년 세계 석탄수급 현황 및 전망(IEA) ▶ 2024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세계 석탄수요는 2027년까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와 아세안 국가의 수요 증가가 EU와 미국의 감소를 상쇄하는 가운데,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석탄 수요를 결정짓는 핵심 국가로 남을 전망임.▶ 발전용 연료탄 수요는 2024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7년까지 약 60억 톤 수준을 유지하고, 비발전용 연료탄 및 갈탄 수요는 소폭(4백만톤, 0.2%) 감소하며, 원료탄 수요는 2027년까지 47백만 톤 감소하여 10.19억 톤에 이를 전망임. ▶ 세계 석탄 생산량은 2024년에 사상 최고치인 90억 톤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7년까지 석탄 생산량은 소폭 감소하여 2027년에 총 89.84억 톤에 이를 전망임. ▶ 세계 석탄 교역량은 2024년.. 2025. 2. 24.
일본의 2025년 에너지 수급 전망(IEEJ)1 ▶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이하 ‘IEEJ’)가 2025년도 일본의 경제・에너지수급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도 일본 경제는 내수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하여 5년 연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 1차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비중이 전년 대비 각각 3.5%, 12.7%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자급률은 17.7%로 증가, CO2 배출량은 전년 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에너지원별로 살펴보면 에너지효율 대응 강화 및 연료 전환 등으로 석유제품은 전년 대비 감소하고 도시가스 및 전력은 자동차 및 전자기기 생산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25년 발전량 기준 비화석에너지 발전원(원자력·재생에너지)은.. 2025. 2. 24.
2022년 세계 석탄 수급 실적과 단기 전망(2025년) ▶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크게 감소했던 세계 석탄 소비가 2021년에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79억 2,900만 톤에 달하였음. 2022년에는 증가세가 1.2%로 둔화된 것으로 추정되나, 총 소비량은 80억 2,500만 톤에 달해 역대 최고 수준을 경신할 것으로 보임. ▶ 암울한 경제 전망에도 불구하고, 빠듯한 여건의 가스 시장과 높은 가스 가격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에서 석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22년 세계 석탄 공급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2023년에 정점에 달할 것이며, 2025년 석탄 생산량은 2022년 보다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 세계 석탄 교역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침체로부터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석탄 교역량이 13억.. 2023.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