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2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와 세계 에너지 시장 변화 ▶ 2023년 OPEC+의 감산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자발적 추가 감산 및 감산 연장에도 불구하고 수요감소에 따른 여파로 국제 유가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됨. ▶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대한 다각적인 기습 공격을 감행하면서 단기 국제 유가의 급등을 초래하였으나, 현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인한 공급 중단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유가 상승 리스크가 제한적으로 나타남. ▶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배경으로 ▲ 팔레스타인 자치 지구 주민들의 삶에 대한 분노의 표출과 저항 의식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절박함 ▲ 본적인 팔레스타인문제 해결 없이 아랍 국가들과 이스라엘 간 평화협정 체결 확대에 대한 경종 등을 들 수 있음. ▶ 향후 전쟁 시나리오별 에너지 시장은 ▲ 전쟁이 가자지.. 2023. 12. 27. 무역수지 16개월 만에 ‘흑자’! 6월 수출이 올해 들어 가장 낮은 감소율을 기록했습니다. 자동차‧일반기계‧선박 등 7개 품목의 선전과 유럽연합(EU)‧중동‧중남미로의 수출 증가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수입은 에너지 수입의 큰 폭 감소로 10% 이상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16개월 만에 흑자 전환했습니다. √ 수출 542억 4천만 달러(전년 동월 대비 6.0% ↓) √ 수입 531억 1천만 달러(전년 동월 대비 11.7% ↓) √ 무역수지 11억 3천만 달러 흑자 ▶ 6월 수출입 주요 특징 √ 자동차‧기계‧선박 등 7개 품목 수출 증가, 반도체‧석유제품 등은 감소 - 자동차 수출 4개월 연속 60억 달러대, 선박 수출 올들어 최대(24억 8000만 달러) - 반도체‧석유제품‧유화는 두 자릿수 수출 감소 √ EU‧중동‧중남미 수출.. 2023. 7.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