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세계 에너지 시장

일본 경제산업성, 탄소발자국(CFP) 활용한 정책 마련 움직임

by 대성에너지 2025. 3. 18.

일본 경제산업성, 탄소발자국(CFP) 활용한 정책 마련 움직임

 

경제산업성은 원재료 조달에서 생산, 유통, 폐기·재활용까지의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GHG)의 총량을 CO2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CFP(carbon footprint, 탄소발자국)를 활용하여 일본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소인 ‘GX실현을 위한 CFP 활용에 관한 연구소’를 개소하였음.1)

 

에너지안정공급, 경제성장, 탈탄소화를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탈탄소성장형경제구조 이행추진전략(GX추진전략)’을 개정하였으며, 2025년 2월 18일에는 ‘GX2040비전’을 수립하였음.

 

소비자에게 제품·서비스의 탈탄소 가치를 전달하는 지표로서는 CFP를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외 환경정책 및 산업정책에 CFP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

 

※ EU에서는 지역에서 유통되는 배터리에 대해 CFP 신고·개시가 의무화되어 있음. 

 

‘GX2040비전’에서는 유럽 동향에 대해 ‘제품단위에서의 탄소배출량을 고려한 정책이 있으며 이는 세계의 제품 경쟁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음. 이에 CFP를 산업정책에 담아 ‘탈탄소투자를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를 실현할 필요가 있으며 검토를 실시할 것’이라고 언급 하였음

 

중략

 

원문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KEEi   인사이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