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천단산업3

첨단산업‧수출 등 집중 지원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년도 예산을 11조 5010억원 규모로 편성했습니다. 이는 2024년 예산 11조 4792억원보다 0.2% 증가한 것입니다. 산업부는 첨단산업 지원과 수출 및 외국인투자 유치 활성화 등에 집중 투입한다는 방침입니다. 주요 분야별 편성 내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첨단산업 육성 : 2조 894억원(17.3%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디스플레이 등 첨단전략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해 2024년 대비 3089억원 확대 편성했습니다. ▶ 수출‧외국인투자유치 활성화 : 9670억원(4.5% ↑)2024년 9258억원에서 내년에는 9670억원으로 412억원 늘렸습니다. ▶ 경제안보 강화 : 1조 8509억원(1.4% ↑)국내외 자원개발, 석유‧핵심광물 비축 강화, 핵심 소재부품기술 .. 2024. 9. 2.
노후 산단에서 첨단산업 혁신 거점으로 강원 후평산업단지, 경남 사천 1‧2산업단지, 전북 전주1‧2산업단지가 첨단산업 혁신 거점으로 거듭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29일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추진위원회’를 열어 이들 산단을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지구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각 지역이 제시한 경쟁력강화사업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강원바이오 의약품‧식품 및 디지털 헬스케어 거점으로 조성. 이를 위해 제조업 첨단화, 기업 성장 산업생태계 조성, 정주환경 개선 등을 추진 ▶ 경남항공우주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 이를 위해 항공우주산업 제조 혁신, 근로자 친화형 공간 혁신, 인재 양성 등을 집중 추진 ▶ 전북사람-산업-기술이 조화된 클러스터 연합형 산업 혁신밸리 조성. 이를 위해 스마트공장 도입 확대.. 2024. 5. 3.
한-미, 23건 MOU 체결…“미래지향적 협력 강화” 한국과 미국이 첨단산업과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키로 하고 양국 기업ㆍ기관들 간 총 23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는 25일(미국 현지 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첨단산업‧파트너십 행사’에서 이뤄진 것입니다. 여기에는 양국 기업과 기관 대표 45명이 참석했습니다. ▲ 첨단산업 : 총 10건의 MOU 배터리, 바이오, 자율주행차, 항공, 로봇 등의 기업과 연구소, 공공기관들은 공동연구, 인력교류, 제품개발, 인증 및 표준 등의 분야에서 상호 협력키로 했습니다. ▲ 청정에너지 : 총 13건의 MOU 석유, 가스 등 전통 에너지 분야에서 소형모듈원전(SMR), 수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신재생, 핵심광물 등으로 협력을 확대키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2023.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