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2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6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중동지역의 군사적 긴장 고조와 미-중 무역 합의 등으로 상승했고, 세계은행의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이유로 이란을 전격 공습하고 이란이 이에 대한 보복 공습에 나섬에 따라 중동지역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석유공급 교란 우려가 제기됨(Reuters, 6.13) 이스라엘은 13일(금) 이란 핵시설과 군사시설 수십 곳을 전투기와 드론으로 공격했으며, 이란도 같은 날 이스라엘 주요 도시인 예루살렘과 텔아비브에 탄도 미사일을 발사함(AP, 6.13, 6.14) ※ 이스라엘 공습으로 이란혁명수비대 총사령관 등 이란군 고위 지휘관과 이란 핵 과학자 사망 - 미국 정부는 11일(수) 이라크 주재 대사관의 비필수 인력 철수를 결정했으.. 2025. 6. 18.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에너지·기후 정책과 대내외 영향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26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해 집권 1기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대선 공약 이행을 위한 것이었으며, 에너지·기후 부문의 조치는 특히 전임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 폐기에 집중되었음.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바이든 전 대통령의 업적을 무효화하는 작업에 즉시 돌입해 일주일 만에 70개 이상의 기후 및 청정에너지 이니셔티브를 폐기했으며, 여기에는 기후변화 대처, 석유·가스 개발 제한, 청정에너지 기술 보급 가속화 등을 위한 연방정부의 약속, 기후 목표 등이 포함됨. ▶ 또한, 취임 후 1주일간 쏟아낸 행정명령을 통해 파리협정 탈퇴, 알래스카를 포함해 미국 내에서 에너지 생산 확대, 신규 풍력 프로젝트 승인 중단 등을 지시함. ▶ 이후 트럼프 행정부는 석유·가스.. 2025. 3.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