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해외시장뉴스7

2024년 중국은 러시아산 석유 및 LNG 수입 확대 ㅇ 중국은 2024년에 러시아산 석유 1억 850만 톤(624억 2천만 달러) 수입(전년 대비 1.3% 증가)ㅇ 또한 러시아산 LNG 수입은 830만 톤(49억 9천만 달러) 기록(전년 대비 3.3% 증가)ㅇ 이로써 러시아는 중국의 △석유 수입에서 1위, △LNG 수입에서 3위를 차지 [원문링크: https://www.rbc.ru/rbcfreenews/678dc1469a7947531044d64b]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1. 23.
독일 전력 시장 현황과 2025년 에너지 분야의 주요 과제 독일은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전력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에서는 전체 발전량의 59%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하며, 에너지 전환의 진전을 보여줬다. 그러나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 전력망 안정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 그리고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독일 전력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2025년 에너지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들도 짚어봤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 현황 지난해 독일에서는 총 431.7TWh의 전기가 생산됐는데, 이는 2023년(450.5TWh)에 비해 4.2% 감소한 수치다. 발전 에너지원 중 재생에너지원에 의한 발전량은 254.9T.. 2025. 1. 23.
몽골 공급망, 우라늄과 희토류로 열어가는 경제 다변화의 길 몽골 광물 시장과 라이선스 현황 몽골은 석탄, 구리, 금, 희토류 등 다양한 광물이 풍부하여 세계에서 자원이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 산업 자원부에 따르면, 현재 구리 5,650만 톤, 석탄 366억 톤, 철광석 18억 톤의 확인된 매장량이 공식적으로 보고되었다. 광업 및 산업 자원 부문은 몽골 경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의 30%, 국가 예산 수입의 37%, 총 수출 수익의 94%, 외국인 직접 투자(FDI)의 82%, 그리고 산업 부문 생산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 경제가 광업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몽골 정부는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여 광업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몽골.. 2025. 1. 13.
새롭게 부상하는 천연가스 글로벌 공급망, UAE 가스 산업 동향 천연가스(271111) 미국 에너지관리청인 EIA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UAE는 2023년 기준 UAE는 약 290조 입방피트(Cubic Feet)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의 273조 입방피트 대비 6.2% 증가한 수치이다. 전 세계 매장량 순위에 대한 최신 통계는 찾아볼 수 없지만, UAE측 발표에 따르면 UAE는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규모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이다.  UAE 천연가스 생산 동향 2014년부터 2023년 사이 최근 10년간 UAE의 천연가스 연간 평균 생산량은 약 540억 입방미터(Cubic Meter)이며 동 기간 동안의 평균 소비량은 약 666억 입방미터로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AE는 액화천연가스(LNG) 형태의 가스 수.. 2025. 1. 13.
칠레 국가리튬전략 및 이행현황 칠레 광업 개요 및 광물자원 현황     o 칠레에서 광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 11.9%으로 전력, 용수, 제조, 운송 등         연관 산업에 대한 수요 창출 효과로 인해 국가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023년         광산물 총 수출액은 530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56%를 차지하고 광업 직접 고용인력은 28.7만 명으로         추산된다.      o 한편, 광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광물수요 감소, 가격하락, 환율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국가경제 전체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정치,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도전과제뿐         아니라 구리 품질 저하, 생산비용 증가, 수자원 부족 .. 2025. 1. 8.
24년 11월, 中 철도화물발송 실적 3억 5천만 톤, 전년 동기 대비 5.5%↑ □ '24년 11월, 中 철도화물발송 실적 3억 5천만 톤, 전년 동기 대비 5.5%↑ ㅇ 11월 중국철도의 일일 평균 적재량 19만 4천 대로 사상 최고치 기록.ㅇ 11월 석탄발송 실적은 1억 84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 그중 전기용 석탄발송은 1억 3,2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 * 원문기사 링크:  https://www.gov.cn/yaowen/liebiao/202412/content_6994195.htm 2024. 12. 24.
인도네시아 친환경 선박시장 현황과 진출 전략 인도네시아 조선산업 현황 인도네시아는 약 1만7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국가이자 풍부한 천연자원과 함께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9만5000km의 해안선을 보유한 국가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전국에 걸쳐 약 1241개의 항구가 있을 만큼 선박은 운송 및 연결 수단일 뿐만 아니라 광업, 어업, 관광 및 국방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요하고 필수적인 수단이다. 인도네시아 선주협회(INSA, Indonesian National Shipowners' Association)에 따르면, 협회에 가입된 선주사가 약 1277개에 달하며, 340여 개의 조선소 및 127여 개의 선박 부품회사가 인도네시아 조선산업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주요 조선소 분포 그림.. 2024.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