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동남아시아 수소 수요는 400만 톤으로, 전 세계 수소 수요의 약 4%를 차지했으며, 전체 수요의 85%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에 집중됨
▶ 전체 수소 수요의 절반은 암모니아 합성공정에서, 역내 생산의 2/3는 인도네시아에서 각각 발생함. 말레이시아, 베트남 또한 충분한 암모니아 수요를 보유하고 있음.
▶ 현재 동남아시아에서 25개의 수소 생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2030년까지 연간 약 48만 톤의 수소가 생산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90% 이상이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되고 있음.
▶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수소 생산은 대부분 천연가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향후 증가하는 역내 수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천연가스와 수소 파생물 수입 의존도 증가가 불가피함. 이에 따라 역내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수소를 생산한다면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증대시킬 수 있음.
▶ 그러나 동남아시아 내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을 위한 태양광 및 육상풍력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바, 수소 인증제도 확립을 통해 장기계약을 확보하고, 양자 및 다자간 국제협력을 확대하여 대규모 그린수소 개발 사업을 추진함. 중략
원문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KEEi
'세계 에너지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EA의 세계 중기 가스시장 전망(2024∼2030년) (0) | 2025.11.24 |
|---|---|
|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0) | 2025.11.20 |
| EU의 LULUCF부문 온실가스 감축 현황과 대응 전략 (0) | 2025.11.17 |
|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0) | 2025.11.17 |
| 세계 재생에너지 전력 보급 현황 및 전망 (0) | 2025.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