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4 몽골의 그린수소 개발 전략과 추진과제 ▶ 몽골은 2.6TW의 재생에너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그린수소 생산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투자 유치와 수자원 자원 확보가 핵심 과제임. 특히 재생에너지 잠재력과 주요 공급지역은 남부에 있지만, 수자원은 북부에 위치함. ▶ 몽골의 그린수소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부문의 투자매력 증대, ‘일관성·투명성·신뢰성 부족 해소, 전력구매계약(PPA) 체계 개선 등이 요구됨. 몽골은 주변 경쟁국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비슷하게 외국인투자에 상당히 개방적이라는 특징이 있음. ▶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는 북부에서 남고비지역으로 물 공급망 구축,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거버넌스 구축, 폐수 재활용 기술 도입, 그리고 수자원-그린수소 연관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이 필요함. ▶ 그린수소 관련 국제 표준 및 .. 2025. 9. 10. 중동-유럽 간 그린수소 공급노선의 경쟁력 평가 ▶ 유럽 내 수소수요가 역내공급 역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가 풍부한 재생에너지원과 넓은 저밀도 부지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그린수소 공급국으로 부상하고 있음. ▶ 사우디는 설비이용률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4.3EUR/kg 이하의 LCOH를 공급할 수 있으며, 향후 기술 개발을 통해 1.2EUR/kg까지 하락 가능성도 갖고 있음. ▶ 그린수소 총 공급비용 기준으로 태양광 발전의 경우에 사우디 해안 인접지역, 풍력 발전의 경우에 내륙지역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중동-유럽 간 해상을 통해 그린 암모니아를 수송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됨. ▶ 특히, 사우디 NEOM 프로젝트 인근 지역의 경우, 풍력발전 LCOE가 0.02EUR/kWh로 매우 낮고, 이에 따른 수소 LC.. 2025. 8. 22. 중동-유럽 간 그린수소 공급노선의 경쟁력 평가 ▶ 유럽 내 수소수요가 역내공급 역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가 풍부한 재생에너지원과 넓은 저밀도 부지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그린수소 공급국으로 부상하고 있음. ▶ 사우디는 설비이용률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4.3EUR/kg 이하의 LCOH를 공급할 수 있으며, 향후 기술 개발을 통해 1.2EUR/kg까지 하락 가능성도 갖고 있음. ▶ 그린수소 총 공급비용 기준으로 태양광 발전의 경우에 사우디 해안 인접지역, 풍력 발전의 경우에 내륙지역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중동-유럽 간 해상을 통해 그린 암모니아를 수송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됨. ▶ 특히, 사우디 NEOM 프로젝트 인근 지역의 경우, 풍력발전 LCOE가 0.02EUR/kWh로 매우 낮고, 이에 따른 수소 LCOH도.. 2025. 8. 11. 제주서 ‘청정’ 그린수소 대규모로 생산한다! 제주에서 국내 최대 규모인 12.5MW급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이 시작됐습니다.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사용, 물을 분해(수전해)해 제조한 수소를 말합니다. 이번 제주 실증사업은 총 사업비 620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6년 3월 31일까지 진행됩니다. 여기에는 제주도와 남부발전‧SK플러그하이버스‧제주대 등 지자체, 공기업, 민간기업, 연구기관이 참여합니다. 이 사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현존하는 수전해 시스템 4종 모두로 수소 생산을 실증한다는 것입니다. 4종은 알칼라인(AEC), 고분자전해질(PEM), 고체산화물(SOEC), 음이온교환막(AEM)입니다. 사업 주관기관인 남부발전은 이 실증사업을 통해 연간 1176톤(가동률 60% 기준)의 수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2. 10.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