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무역보험3

전력기자재 수출 지원…2조 7000억 무역보험 공급 정부가 전력기자재 산업 수출 지원을 위해 2조 7000억원 규모의 무역보험을 공급합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일 HD현대일렉트릭 본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습니다. 아울러 전력망 관련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기대되는 북미, 유럽, 아세안 시장을 중심으로 전력기자재 중점 무역관을 지정하고 해외 마케팅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AI) 구현을 위한 데이터센터 증설, 신재생‧원전 등 무탄소전원 확산을 위한 계통연결 수요 등으로 전력기자재 시장은 이른바 ‘슈퍼사이클’을 맞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전력기자재 수출도 증가, 지난해(151억 달러 수출)에는 가전, 섬유 등을 넘어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업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신 수출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 2024. 7. 17.
농기계‧스마트팜도 무역보험 우대 4월 3일부터 농기계와 스마트팜 분야에도 무역보험 우대 프로그램이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이들 분야 수출 기업이 무역보험공사의 단기수출보험에 가입하면 보험료 20% 할인, 가입 한도 최대 2배, 보상 한도 최대 1.5배 등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 단기수출보험은 우리 기업이 수출 물품을 선적한 후 수입자로부터 대금을 받을 수 없게 되는 경우 입게 되는 손실을 보상하는 상품입니다. 우리 농기계는 트랙터를 중심으로 북미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스마트팜은 식량안보에 민감한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세계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의 농기계 수출은 2020년 10억 3000만 달러에서 지난해에는 15억 3000만 달러로 증가했고, 스마트팜은 2022년 460만 달러 수출에서 지난해에는 1억 4300만.. 2024. 4. 8.
올해 무역보험 ‘역대 최대’…255조원 공급 산업통상자원부가 2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4차 민관 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를 개최해 255조원 규모의 무역보험 공급 계획을 담은 ‘2024년 무역보험 지원 확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 ▶ 업종별 맞춤형 공급 √ 주력산업* 136조원 * 자동차, 이차전지, 기계, 선박, 유화, 철강, IT √ 유망소비재* 18조원 * 농수산식품, 화장품, 패션/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 K-콘텐츠 2조원 ▶ 대규모 프로젝트 지원 √ 방산 7조원 √ 플랜트‧에너지 15조원 √ 원전 4조원 ▶ 중소‧중견기업 집중 지원 √ 수출패키지 우대금융 신설(2조 2000억원) √ 수출 신용보증 한도 확대 운영 및 단기수출 보험료 할인(50%) 지속 √ 중소형 조선사 선수금 환급보증(RG)* 발.. 2024.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