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코트라8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ㅇ 원전 운영 국영기업 Gen Energija, 최종 후보로 프랑스 EDF와 미국 Westinghouse 선정 발표       - 한국수력원자력(KHNP), Krško 2 원자로 건설 사업에서 제외       - 슬로베니아 정부, 중국 및 러시아 원전 기술 배제 방침 유지   ㅇ KHNP 탈락으로 최종 후보 원자로 유형 3가지로 축소       - Westinghouse: 1,000MW급 가압경수로(AP 1000)       - EDF: 1,200MW 및 1,650MW급 유럽 가압경수로(EPR 1200, EPR 1650)       - Gen Energija, 경쟁이 여전히 충분하며 선택 과정 간소화 기대   ㅇ Krško 2 프로젝트 예상 비.. 2025. 2. 5.
[일본] 자원에너지청, 제7차 에너지기본계획(원안) 발표 ㅇ 경제산업성과 자원에너지청은 지난 12월 17일, 중장기 에너지정책의 방침을 담은 '제7차 에너지 기본계획'의 원안을 발표ㅇ 2040년도 전력원 구성 전망에서는 재생에너지를 주력 전력원으로 하고, 전력원 구성 비율을 40~50%로 설정ㅇ 원자력은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가능한 한 의존도를 낮출 것'이라는 문구는 삭제하고 20% 정도의 비율을 목표로 함ㅇ 무토 경제산업대신은 "반도체 등 미래 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산업은 탈탄소 전원이 필요하다. 이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지가 국력을 좌우한다."고 강조 ▶ 원문보기https://www.nikkan.co.jp/articles/view/00734570 エネ庁、「エネルギー基本計画」原案公表 再生エネを最大電源に経済産業省・資源エネルギー庁は17日、中長期のエネルギー政.. 2024. 12. 24.
24년 11월, 中 철도화물발송 실적 3억 5천만 톤, 전년 동기 대비 5.5%↑ □ '24년 11월, 中 철도화물발송 실적 3억 5천만 톤, 전년 동기 대비 5.5%↑ ㅇ 11월 중국철도의 일일 평균 적재량 19만 4천 대로 사상 최고치 기록.ㅇ 11월 석탄발송 실적은 1억 84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 - 그중 전기용 석탄발송은 1억 3,2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 * 원문기사 링크:  https://www.gov.cn/yaowen/liebiao/202412/content_6994195.htm 2024. 12. 24.
베트남 친환경 조선 및 해양 산업 동향 베트남, '친환경'과 지속 가능한 해양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 중 응우옌 두이 람(Nguyen Duy Lam) 베트남 교통부 차관은 2023년 말 런던에서 열린 제33차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총회에서 베트남이 친환경 해양 산업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약속했다. IMO는 2050년까지 해운업계의 탄소 배출량을 순 제로로 만들기 위해 2030년과 2040년까지의 중간 목표를 설정했고,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회원국인 베트남 역시 이러한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해야 하는데, 람 차관은 “베트남은 온실가스 감축과 친환경 연료 전환을 통해 IMO의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를 밝힌 것이다.. 2024. 9. 26.
1100여개 기업 대상 수출 바우처 사업 시작 산업통상자원부가 코트라(KOTRA)와 함께 올해 1100여개 사를 대상으로 수출 바우처 사업을 본격 시작합니다. 수출 바우처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시장조사, 브랜드 개발 등 사전 준비부터 해외 영업지원, 홍보 등 시장 진출까지 수출 전 과정에 필요한 바우처를 지급, 기업이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출 지원 사업입니다. 정부는 올해 역대 최대인 561억원 규모의 바우처를 발급하며, 대상 기업도 지난해 779개에서 1100여개로 확대 지원합니다. 바우처 참여 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수출 전문위원이 일대일 멘토링하고, 해외 인증지원 범위도 600개로 확대합니다. 홍해 리스크 등 물류비 지원 한도 역시 2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상향합니다. 상반기.. 2024. 3. 18.
원전설비 수출 잠재력 기업 집중 지원 정부가 원전설비 수출 잠재력을 갖춘 기업을 발굴해 집중 지원합니다. 기술력, 수출 준비도, 추진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올해 10개사를 선정하고, 2027년 60개사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면 한수원, 코트라 등 5개 기관이 시장조사, 수출전략 수립, 품질인증 획득, 마케팅, 계약 체결, 납품 등을 밀착 지원합니다.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기업별 여건을 감안, 최적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지원하는 것입니다. 기업 당 최대 지원 규모는 연간 4억원, 5년간 20억원입니다. 최근 신규 원전 건설과 계속운전 확대로 전 세계적으로 원전설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3월 ‘원전설비 수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원전 공기업과 협력업체 간 동반진출 확대 ▲공기업 수주.. 2023. 9. 20.
[중국] 배터리시장 수급 불균형 심화...일부 기업 신규수주 중단 中 배터리시장 수급 불균형 심화...일부 기업 신규수주 중단 (10.19, 중국에너지망) ㅇ 탄소중립 시대 차량용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급부족 심화 - 원자재 및 배터리 셀 가격 급등으로 생산비용 부담이 커지자 일부 기업은 연말까지 신규수주를 중단 *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수요가 가장 왕성한 제품은 280Ah 용량의 배터리 셀임 - 올 9월 누계 기준 중국 차량용 배터리 생산량은 전년 동기비 176.2% 증가한 372.1GWh, 상반기 중국의 리튬이온배터리 생산 증가율 150% 도달(생산량 280GWh) - 글로벌 에너지 위기로 외수가 급증하고 국내외 총이익 격차가 확대하면서 중국기업들은 해외 출하량을 확대하고 수출물량을 늘리고 있음 * 1~8월 중국 리튬이온배터리 수출액 29.. 2022. 10. 19.
폴란드, 러시아산 가스 의존 탈피 박차 그 동안 폴란드는 연간 가스 소비량의 약 절반을 러시아의 국영 에너지기업인 가스프롬(Gazprom)을 통해 공급받았다. 그러나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천연가스 공급 대금을 루블화로 결제하라는 러시아 정부의 요구를 폴란드 정부가 거부하자 러시아 측은 폴란드로의 천연가스 공급을 지난 4월 27일 자로 중단시킨 상황이다. 폴란드 정부는 ‘22년 12월 말이 계약 만기인 가스프롬과의 계약을 더 이상 연장하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공식 발표하여 향후 폴란드 정부의 가스 수급계획과 가스시장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폴란드 가스 공급 현황 폴란드의 주요 가스 공급처는 국영기업인 PGNiG사로 가스 생산, 수입, 판매 및 서비스 등의 모든 가스 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폴란드 전체가스시장의 공급량의 85%를 .. 2022.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