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단지4 소부장 특화단지 현장맞춤형 기술인력 양성 제2기 소부장 특화단지 현장 맞춤형 기술인력 2700명이 양성됩니다. 제2기 소부장 특화단지는 ▲오송(바이오 소부장) ▲대구(모터) ▲광주(자율주행차) ▲부산(전력반도체) ▲안성(반도체장비) 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아깉은 내용의 제2기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재직자 교육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특화단지 내 기업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공공연구원의 기술개발인력과 장비를 활용해 맞춤형 기술교육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5년간 75억원이 투입됩니다. 오송단지의 경우 미국 의약품 품질기준(cGMP) 인증확보를 위한 내용을, 대구단지에서는 모빌리티 전동화 추세에 맞춰 모터 설계‧검증 관련 내용을 각각 교육합니다. 부산단지에서는 현장 수요가 많은 전력반도체용 고전압.. 2024. 8. 6. 5개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 5개 바이오 특화단지가 지정됐습니다. 정부는 27일 제6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개최해 ▲인천‧경기(시흥) ▲대전(유성) ▲강원(춘천‧홍천) ▲전남(화순) ▲경북(안동‧포항)을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했습니다. 각 지역별 계획을 살펴보면 인천‧경기(시흥) 지역은 세계 1위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를 비전으로 세계 최대 생산기지와 기술 초격차를 위한 글로벌 거점으로 조성합니다. 특히 인천은 현재 단일 도시 기준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제조 역량인 116만 5000리터 규모를 2032년 214만 5000리터로 2배 확대할 계획입니다. 대전(유성)은 혁신 신약 연구개발 오픈 이노베이션 거점을 목표로 조성합니다. 탁월한 연구개발 기반과 기술력 있는 선도 기업군을 바탕으로 2032년까지 블록버스터 신.. 2024. 7. 8. 소부장 특화단지를 초격차기술‧공급망 핵심기지로 정부가 향후 5년간 총 5067억원 규모를 투자해 소부장 특화단지를 초격차 기술과 공급망 핵심기지로 육성합니다. 정부는 3일 오후 서울청사에서 올해 첫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해 ‘소부장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방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그 내용을 알아봅니다. ◈ 특화단지별 지원 방안 ▶ 충북 바이오 신속한 자립화 위해 연구개발(R&D), 규제 컨설팅 지원 ▶ 대구 모터 자동차용 희토 영구자석 대체재‧재활용 기반 마련 ▶ 광주 자율주행 통합제어시스템 경쟁력 및 신뢰성 확보 ▶ 부산 전력반도체 공공팹 중심 생산기반 조성 ▶ 안성 반도체장비 해외 의존 중인 국내 반도체 장비 경쟁력 제고 ◈ 공통지원 방안 ▶ 금융 지원 지방투자촉진보조금 확대, 특화단지 전용펀드 운용, 산은 우대금리 제공 등 ▶ 기술.. 2024. 4. 10. 681조원 민간투자 계획 맞춰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종합 지원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가 적기에 조성될 수 있도록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종합지원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민간은 이곳에 2047년까지 681조원 규모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민간의 투자 계획에 맞춰 기반시설 구축, 재정지원 기준 마련, 인센티브 확충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것입니다. 그 내용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 기반시설 집중 지원 √ 포항‧구미‧새만금‧울산 특화단지에 국비 439억원 지원(2024년) ※ 용인‧평택 특화단지에는 국비 1000억원 이미 지원(2023년) √ 용인 국가산단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 추진(10조원 이상 규모) ▶ 국비 지원 기준 마련 √ 기반시설 국비 지원 건 수 제한(2건) 기준 폐지 √ 총 사업비 중 국비 지원 비율 최대 10%P까지 상향(투자 규.. 2024. 4.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