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프로젝트4

미래산업 판도 바꿀 도전과 혁신은 계속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신규 연구테마 3개를 선정했습니다. 지난 8개월 간 그랜드챌린지위원회(기술,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민간 권위자로 구성)의 집중 토론을 거쳐 ▲에너지 전달의 시공간 한계 초월(언제, 어디든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 ▲절대 뚫리지 않는 보안 메커니즘(스스로 진화하는 사이버 아이언돔) ▲뉴로-인공지능 퓨전 슈퍼 휴먼(신경-인공지능 인터페이스 기반 신체 능력 증강)을 선정한 것입니다.  산업부는 이 3개 테마에 대해 7년간 3단계 경쟁방식을 통해 681억원을 지원합니다. 올해는 테마 별로 6개의 개념 연구과제를 선정, 총 33억 7500만원을 투입합니다. 신규 테마 연구과제와 관련한 상세 내용은 산업부(www.motie.go.kr)와 범부처통합연구지.. 2025. 2. 13.
미국 동북부, 해상풍력 프로젝트 어디까지 왔나 미 에너지 관리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은 탄소 저감을 실현하기 위해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으로 에너지 믹스를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 기준 미국 내 에너지원별 설비용량 비중은 천연가스 38.32%, 석탄 19.85%, 핵발전 18.6%, 풍력 10.47%다. 화력 발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그 비중을 줄여 2050년에는 태양광 37%, 석유 및 천연가스 30%, 풍력 15% 등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특히 해상풍력 발전은 미정부 차원에서 2050년까지 110GW를 설치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주별로도 각각 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뉴저지주는 2024년까지 11GW, 뉴욕주는 2035년까지 9GW, 메릴랜드주는.. 2024. 9. 26.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통해 미래기술이 현실로 ‘생각만으로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는 없을까?’(Brain to X) ‘줄기세포로 사람 몸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장기를 만들 수 없을까?’(면역거부반응이 없는 소프트 임플란트) ‘줄기세포를 배양하면 가축과 똑같은 고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아티피셜 에코 푸드) ‘기존 물성을 뛰어넘는 미래 소재를 인공지능(AI)으로 설계할 수 있을까?’(AI 기반 초임계 소재) 2022년 시작된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의 연구 주제들입니다.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10~20년 후 산업 판도를 바꿀 미래기술을 개념연구, 선행연구, 본연구 3단계 경쟁방식으로 선정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현재 ‘Brain to X’ 등 총 10개 기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술 개발은 실패를 용인하는 중장기 사업(과제당 총 7년)으로.. 2024. 2. 16.
수출 플러스 전환 위해 9대 수출 확대 프로젝트 추진! 산업통상자원부가 모빌리티, 에너지, 소재‧부품 분야를 중심으로 단기 성과도출이 가능한 9대 프로젝트를 발굴해 밀착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올해 수주 314억 달러, 수출 263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산업부는 5일 한국무역협회에서 제1차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의 ‘9대 수출확대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 모빌리티(수주 4억 달러, 수출 21억 4000만 달러) √전기차‧전기차 충전기 - 미국, 유럽연합(EU), 아세안 √ 다목적 헬기‧첨단로봇 - 미국, 중동, 아세안 √ 건설기계 - 중동 ▶ 에너지(수주 310억 달러, 수출 4000만 달러) √ 풍력발전 기자재 - 북미, EU √ 수소연료전지‧수소플랜트 - 북미, 중동 √ 오일‧가스 플랜트 - 중동, 중앙아시아 ▶ .. 2023.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