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희토류3

몽골 공급망, 우라늄과 희토류로 열어가는 경제 다변화의 길 몽골 광물 시장과 라이선스 현황 몽골은 석탄, 구리, 금, 희토류 등 다양한 광물이 풍부하여 세계에서 자원이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 산업 자원부에 따르면, 현재 구리 5,650만 톤, 석탄 366억 톤, 철광석 18억 톤의 확인된 매장량이 공식적으로 보고되었다. 광업 및 산업 자원 부문은 몽골 경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의 30%, 국가 예산 수입의 37%, 총 수출 수익의 94%, 외국인 직접 투자(FDI)의 82%, 그리고 산업 부문 생산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 경제가 광업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몽골 정부는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여 광업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몽골.. 2025. 1. 13.
185개 공급망 안정품목 특정국 의존도 50% 이하로 산업통상자원부가 반도체 희귀가스, 흑연, 희토류, 요소 등 185개 공급망 안정품목을 선정, 이들의 특정국 의존도를 2022년 평균 70%에서 2030년 50% 이하로 낮춥니다. 산업부는 13일 국내 유일의 천연 흑연 음극재 생산 공장인 포스코퓨처엠(세종2공장)에서 ‘산업 공급망 전략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의 ‘산업 공급망 3050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그 내용을 알아봅니다. ▶ 공급망 제도와 및 추진 체계 구축 “범정부 컨트롤타워인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중심으로 신속하고 일사분란한 국가 공급망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 공급망 위기 신속 대응 체계 가동 “품목별 위기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관계부처 합동 모의훈련 등을 실시, 위기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습니다.” ▶ 핵심품목 자립 생산 기반 확.. 2023. 12. 19.
자원부국 베트남과 핵심광물 협력 확대! 한국이 베트남과 핵심광물 공급망 분야 협력을 확대합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5일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양해각서(MOU)’를 비롯, 총 3건의 협정 및 MOU에 서명했습니다. ▶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MOU 한국의 산업부와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이번 MOU 서명을 통해 핵심광물의 탐사와 개발 관련 기술, 투자 촉진, 안정적 수급, 공동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 등을 위한 협력을 강화키로 했습니다. 베트남은 희토류(매장량 세계 2위), 텅스텐(매장량 세계 3위) 등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한 자원부국입니다. 우리나라는 핵심광물의 채굴과 정련 및 제련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 이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 2022.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