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5 7개 글로벌 기업, 한국에 1조 2600억 투자 일본 반도체 기업과 독일 자동차 전장부품 기업 등 7개 글로벌 기업이 우리나라에 총 1조 2600억원(9.2억 달러) 규모를 투자합니다. 이들 기업은 지난 2006년부터 개최된 국내 최대 외국인투자 유치 행사인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Invest Korea Summit‧IKS)에서 이같은 내용의 투자를 신고했습니다. IKS는 6일부터 8일까지 서을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립니다. 이들 기업은 공장 증설, 새로운 사업 확장, 첨단 물류센터 구축 등을 통해 한국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2개 기업에 대한 글로벌 지역본부(Headquarter) 지정식도 열렸습니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PC, 프린터 생산기업 휴렛 패커드(HP)는 국내에서 글로벌 연구개발을 총괄하고, 세계 1위 풍력터빈 기업.. 2024. 11. 8. 우리 기업 R&D 투자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는 어느 정도일까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지난해 기준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투자 현황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내용을 살펴봅니다. ▶ 총 투자액 72조 5000억원지난해 이들 기업의 R&D 투자액은 72조 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조 8000억원(8.7%) 늘었습니다. 반면 매출액은 2.8%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 비중은 3.9%에서 4.4%로 증가했습니다. ▶ 상위 10대 기업의 투자액 45조 5000억원투자 규모 상위 10대 기업의 총 투자액은 45조 5000억원, 50대 기업의 투자액은 56조 5000억원으로 1000대 기업 전체 R&D 투자액의 62.7%와 78.1%를 차지했습니다... 2024. 7. 2. 올해 소재부품 기술개발에 1조 1410억 원 투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소재부품 분야 기술 개발에 총 1조 1410억원을 투자합니다. 산업부는 이 가운데 2451억원 규모의 신규 과제를 4일 공고했습니다. 이들 과제는 첨단기술 초격차, 공급망 안정화, 탄소중립 등을 중심으로 기획됐습니다. 그 내용을 자세히 보면 우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 초격차 기술 개발에 694억원을 신규 투자합니다. 또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185개 공급망 안정품목의 기술 개발에 586억원을 신규 지원합니다. 이는 지난해 101억원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규모입니다. 아울러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한 기술 개발에도 545억원을 새로 투입합니다. 이밖에 민간 투자 유치 기업에 정부가 기술개발자금을 대응 투자하는 투자.. 2024. 3. 8. 2023년 수출‧투자 플러스 달성!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수출과 투자 플러스 달성을 목표로 하는 ‘통상 10대 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과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이 13일 공동 주재한 2023년 제1차 통상산업포럼에서 발표한 것입니다. 통상산업포럼은 정부-산업계 간 통상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3년 구성한 통상 분야 민관협업 채널입니다. 이날 발표한 통상 10대 과제의 주요 내용을 알아봅니다. ▶ 과제 1. 주요국 통상 조치에 적극 대응 - 업계 산업부 간 ‘업종별 통상협의체’ 구성 ⇒ 통상 정보 공유, 정부-업계 공조 ▶ 과제 2. 미국-중국 패권 경쟁에 대응한 전략적 협력 구체화 - (미국) 수출통제‧투자심사 등 경제 안보 이슈는 공급망‧산업대화 등을 통해 수시 협의 - (중국) 중앙부터 지방에 이르는 다층적 협력채널 .. 2023. 2. 16. 2022년 외투 300억 달러 돌파…사상 최초‧최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튼튼한 제조업 기반과 제도 개선‧유치 노력 등에 힘입어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가 최대 실적(신고 기준)을 달성하며 투자와 고용 창출에 기여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외투 신고 기준은 304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습니다. 이는 종전 최대 실적인 2021년의 295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기록입니다. 도착기준으로는 전년보다 3.1% 감소한 180억 3000만 달러로 역대 2위. 1위는 2021년의 186억 달러입니다.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 세부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업종별 ▶ 신고금액 제조업(+149.4%, 비중 41.0%)과 기타업종(+47.7%, 비중 4.6%)은 증가 서비.. 2023. 1.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