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공사5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9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러시아 원유수출 감소 소식, 미국의 이란 관련 제재 등 상승 요인과 OPEC+ 원유 추가 증산 가능성, 미국 경제지표 부진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보합세를 나타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상대방 에너지 기반 시설에 대한 공습을 강화한 가운데 러시아의 원유 수출이 감소하고 정제시설 운영에 차질이 발생함. 투자은행 ANZ가 인용한 Tanker Tracker 자료에 의하면 러시아 항만의 주간 원유 선적 물량은 272만b/d로 최근 4주 기간 중 최저치를 기록함 우크라이나의 드론 공격으로 러시아 Ust-Luga 석유수출 터미널 가동에 차질이 발생했고, 러시아 석유정제능력의 17%에 해당하는 1.1백만b/d의 시설이 가동을 중단함 미국 재무부는 2일(화) 이란산 원유를 이라크산 원유로 .. 2025. 9. 15.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8월 넷째 주 국제 유가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에 대한 회의론 영향으로 상승했고, 전쟁 여파로 인한 러시아의 원유 수출 물량 확대 가능성은 상승폭을 제한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Kyiv)에 전후 두번째로 큰 규모의 공습을 단행하는 등 양국의 상호 공습이 지속됨에 따라 평화협상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됨(Reuters, 8.25, 8.28) 우크라이나 또한 러시아의 공습 직후 러시아 석유정제시설 2곳을 타격하는 등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습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음. 석유정제시설에 대한 공습으로 러시아 정제시설의 최소 17%(1.1백만b/d)가 피해를 보았고, 러시아는 자국 정제수요를 초과하는 원유에 대한 수출을 확대하고자 함(Reuters, 8.28). 로이터는 러시아산 원유 수출 확.. 2025. 9. 5.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월 넷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베네수엘라 추가 제재와 의 감산 계획 등의 영향으로 , - OPEC+상승했고 러우 사태 휴전으로 인한 러시아 제재 완화 가능성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중략 원문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 국제유가 2025. 4. 8.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와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미국의 이란 원유수출 관련 추가 제재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25%(캐나다 에너지 10%),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나, 3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부과를 30일 유예함(Reuters, 2.3). -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에너지 시장을 교란할 수 있으므로 유가의 상승 요인이지만, 미국의 보편 관세 확대는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유가 하락 요인임. ※ 미국의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 정제량은 각각 380만b/d, 45.7만b/d로 전체 정제량의 1/4을 차지∙ 중국 정부는 미국의 중국에 대.. 2025. 2. 12.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1012호, 2024.10.15) 10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 지속과 사우디의 공식판매가격 인상 등으로 상승했고, 미국 원유재고 증가와 EIA의 세계 석유수요 전망치 하향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이란의 이스라엘에 대한 미사일 공격(10월 1일) 이후 이스라엘의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그 대상에 이란 석유시설이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됨(Reuters, 10.7) 이란 외교부 장관은 이스라엘이 이란의 하부구조에 대한 공격을 시행하면 강력한 보복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함(Reuters, 10.8).New York Times와 Jerusalem Post는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이 이란의 군사 및 정보 시설을 겨냥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함(CNBC, 10.8). 로이터 통신은 중동 국가들이 미국에 이스.. 2024. 10.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