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세계 에너지 시장138

트럼프 대통령, 에너지 프로젝트 허가 가속화 위해 ‘국가 에너지비상사태’ 선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불충분한 에너지 생산, 수송, 정제가 국가 경제, 안보, 대외 정책 등에 상당한 위협이 된다고 주장하며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함(2025.1.20.).1)트럼프 대통령은 상기 행정명령에서 바이든 전 대통령의 유해하고 근시안적인 정책으로 인해 에너지 공급 부족, 전력망 안정성 위협, 에너지 가격 상승, 해외 적대국에 대한 취약성 가중 등이 초래되었다고 지적함. 이에 미국 내 에너지 생산을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해 다음을 지시함. ・ 연방 정부 기관은 에너지 자원 개발·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적법한 비상 권한과 기타 권한 활용・ 국공유지에서 에너지 생산 및 개발권 임대 활성화 ・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 2025. 2. 25.
2024년 세계 석탄수급 현황 및 전망(IEA) ▶ 2024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세계 석탄수요는 2027년까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와 아세안 국가의 수요 증가가 EU와 미국의 감소를 상쇄하는 가운데,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석탄 수요를 결정짓는 핵심 국가로 남을 전망임.▶ 발전용 연료탄 수요는 2024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7년까지 약 60억 톤 수준을 유지하고, 비발전용 연료탄 및 갈탄 수요는 소폭(4백만톤, 0.2%) 감소하며, 원료탄 수요는 2027년까지 47백만 톤 감소하여 10.19억 톤에 이를 전망임. ▶ 세계 석탄 생산량은 2024년에 사상 최고치인 90억 톤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7년까지 석탄 생산량은 소폭 감소하여 2027년에 총 89.84억 톤에 이를 전망임. ▶ 세계 석탄 교역량은 2024년.. 2025. 2. 24.
일본의 2025년 에너지 수급 전망(IEEJ)1 ▶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이하 ‘IEEJ’)가 2025년도 일본의 경제・에너지수급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도 일본 경제는 내수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하여 5년 연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 1차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비중이 전년 대비 각각 3.5%, 12.7%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자급률은 17.7%로 증가, CO2 배출량은 전년 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에너지원별로 살펴보면 에너지효율 대응 강화 및 연료 전환 등으로 석유제품은 전년 대비 감소하고 도시가스 및 전력은 자동차 및 전자기기 생산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25년 발전량 기준 비화석에너지 발전원(원자력·재생에너지)은.. 2025. 2. 24.
중국 에너지법 제정과 시사 ▶ 중국은 세계 최대 에너지 생산국이자 소비국임에도 전력법, 재생에너지법과 같은 개별법은 존재하였으나, 이를 통합할 에너지 기본법이 오랫동안 부재하였음.▶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면서 경제가 급성장하자 에너지소비 규모가 급증하고 자급률이 급감하여 수급 불균형이 나타나자 에너지 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이 대두됨. ▶ 2006년에 에너지법 제정 작업에 들어갔으나 에너지부문의 방대한 내용과 문제점을 모두 통합해야 하고, 정부 기관, 업계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제정에 난관을 겪음. 그러나 2020년에 탄소피크·탄소중립 목표가 수립되면서 에너지법 제정이 가속화 됨. ▶ 2024년 11월 총 9장 80항으로 구성된 에너지부문 기본법인 ‘에너지법’이 제정되었으며, 2025년 1월 1일부터 정식 발효됨. ▶ ‘.. 2025. 2. 24.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제재에 따른 러시아 생산량 축소 등 상승 요인과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세계 경제 둔화 우려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보합세를 나타냄.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제재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러시아는 원유생산을 축소해 대응할 것으로 전망됨(Reuters, 2.12).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 여파로 유조선이 부족하여 원유 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제시설 공격으로 자국 내 정제능력이 감소함. 익명의 러시아 석유기업 임원들에 따르면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단기적으로 9백만b/d 이하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재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량은 더욱 축소될 것을 전망됨. ※ IEA에 따르면 러시아는 2.. 2025. 2. 20.
한-체코 에너지기술포럼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025. 2. 18(화) 09:30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루카쉬 블첵(Lukáš Vlček)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 페트르 콘발린카(Petr Konvalinka) 체코 기술청장, 이승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을 비롯한 한-체코 양국 정부 관계자 및 산학연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양국 간 무탄소 에너지 분야 기술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한-체코 에너지기술포럼」에 참석하여, 환영사를 통해 “체코는 중부유럽의 제조 강국으로 양국 기업의 역량을 잘 결합한다면 탄소중립이라는 도전 속에서도 오히려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에너지 분야에서도 양국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동연구를 지속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 2. 20.
제2차 한-체코 공급망에너지 대화 합의의사록 서명식 제2차 한-체코 공급망에너지 대화 합의의사록 서명식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25. 2. 17(월) 11:30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 메이플홀에서 루카쉬 블첵(Lukáš Vlček)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을 비롯한 한-체코 양국 정부대표단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한-체코 공급망에너지 대화 합의의사록 서명식」을 가졌다. 원문출처: 산업통상자원부 포토뉴스 2025. 2. 18.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와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미국의 이란 원유수출 관련 추가 제재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25%(캐나다 에너지 10%),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나, 3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부과를 30일 유예함(Reuters, 2.3). -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에너지 시장을 교란할 수 있으므로 유가의 상승 요인이지만, 미국의 보편 관세 확대는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유가 하락 요인임. ※ 미국의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 정제량은 각각 380만b/d, 45.7만b/d로 전체 정제량의 1/4을 차지∙ 중국 정부는 미국의 중국에 대.. 2025. 2. 12.
[이스라엘] 이스라엘 전기의 14%만이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 -2024년 기준 유럽 연합은 전력 생산 48%를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하여, 14% 인 이스라엘 크게 앞섬 -이스라엘 전력 구성, 천연가스 71%, 석탄 14%, 재생 에너지 14% -이스라엘 정부의 2025년 20% 재생 에너지 대체 목표 달성 가능성이 낮아 16%에 그칠 것으로 전망 -정부의 복잡한 규제, 인프라 부족, 자유 시장 활성화 실패 등이 주요인 -한편, 2024년 이스라엘 전기차 판매 비중은 27%, 유럽 연합(20%) 상회, 전기버스 전년 대비 20% 증가 *원문 기사 링크: https://www.calcalistech.com/ctechnews/article/2572qjusa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2. 5.
[슬로베니아] 전기차 판매량 급감,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인기 □ 슬로베니아 전기차 판매량 급감,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인기   ㅇ 2024년전기차 판매량, 전년 대비 약 38% 감소. 총 3,142대가 신규 등록      - 이는 전체 신규 등록 승용차 중 약 6%에 해당, 슬로베니아 국가 기후 계획의 최소 목표치인 3,951대에도 미치지 못함      - Tesla 모델 3와 Y는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전기차로, 각각 446대와 390대가 신규 등록됨      - Cupra Born은 304대로 그 뒤를 이음      - MG 4와 Volkswagen ID.3는 각각 138대로 공동 4위를 차지함   ㅇ 전기차 판매 감소의 주요 원인, 높은 차량 가격과 소비자들의 구매 망설임      - 전기차는 여전히 내연기관 차량보다 가격이 높아 소비자들의 구.. 2025. 2. 5.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 슬로베니아 Krško 2 원전 프로젝트 최종후보 발표   ㅇ 원전 운영 국영기업 Gen Energija, 최종 후보로 프랑스 EDF와 미국 Westinghouse 선정 발표       - 한국수력원자력(KHNP), Krško 2 원자로 건설 사업에서 제외       - 슬로베니아 정부, 중국 및 러시아 원전 기술 배제 방침 유지   ㅇ KHNP 탈락으로 최종 후보 원자로 유형 3가지로 축소       - Westinghouse: 1,000MW급 가압경수로(AP 1000)       - EDF: 1,200MW 및 1,650MW급 유럽 가압경수로(EPR 1200, EPR 1650)       - Gen Energija, 경쟁이 여전히 충분하며 선택 과정 간소화 기대   ㅇ Krško 2 프로젝트 예상 비.. 2025. 2. 5.
2024년 중국은 러시아산 석유 및 LNG 수입 확대 ㅇ 중국은 2024년에 러시아산 석유 1억 850만 톤(624억 2천만 달러) 수입(전년 대비 1.3% 증가)ㅇ 또한 러시아산 LNG 수입은 830만 톤(49억 9천만 달러) 기록(전년 대비 3.3% 증가)ㅇ 이로써 러시아는 중국의 △석유 수입에서 1위, △LNG 수입에서 3위를 차지 [원문링크: https://www.rbc.ru/rbcfreenews/678dc1469a7947531044d64b]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2025. 1. 23.
독일 전력 시장 현황과 2025년 에너지 분야의 주요 과제 독일은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전력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에서는 전체 발전량의 59%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생산하며, 에너지 전환의 진전을 보여줬다. 그러나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 속에서 전력망 안정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 그리고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독일 전력 시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2025년 에너지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들도 짚어봤다.  2024년 독일 전력 시장 현황 지난해 독일에서는 총 431.7TWh의 전기가 생산됐는데, 이는 2023년(450.5TWh)에 비해 4.2% 감소한 수치다. 발전 에너지원 중 재생에너지원에 의한 발전량은 254.9T.. 2025. 1. 23.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 1월 셋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 발표의 영향 지속 등으로 상승했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 소식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 발표(1월 10일)로 주요 러시아 원유 수입국인 중국과 인도의 수입 차질이 예상되면서 유가는 4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함(Reuters, 1.13)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 메이저 석유회사 2개사(Gazprom Neft, Surgutneftegas)와 소위 ‘그림자 선단’으로 불리는 선박 183척에 대한 제재를 포함하는 강력한 러시아 제재안을 발표함.  ※ G7은 러시아의 석유판매수입 억제를 목적으로 2022년 12월부터 $60/배럴 이상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원유에 대해 선박 및 보험서비스 제공을 금지하는 내.. 2025. 1. 22.
인도 석유 공급망의 이해, 정부 수출 활성화 전략을 통해 인도 석유 원자재 수입과 석유 제품 수출 현황  Commodity Insights에 따르면 유럽연합과 영국이 2023년 러시아 디젤을 금지한 이후 유럽으로의 인도 석유 제품 수출이 급증하였으며, 지난 10월 수출은 하루 평균 21만5000 배럴에 달했다. 이는 9월 최고치인 28만2000 배럴에서 하락한 수치이며, 11월 수출은 10만4000 배럴으로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 홍해를 포함한 물류 문제가 희망봉을 경유하여 화물을 재운송하여 해결된 이후 인도 정유업계가 유럽과 지중해로의 선적을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의 대유럽 제트 연료 수출은 5월 12만6000 배럴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했다. 인도는 2022년 2월 이래로 두 번째로 큰 러시아 원유 구매국이 되었다. 총 수입 원유의 1%.. 2025.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