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에너지경제연구원110

일본 경제산업성·환경성, 태양광 폐패널 리사이클 제도 마련을 위한 논의 개시 일본 경제산업성·환경성, 태양광 폐패널 리사이클 제도 마련을 위한 논의 개시경제산업성과 환경성은 태양광 폐패널 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연내에 태양광패널 리사이클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함. 2012년 FIT제도 도입 이후 태양광발전이 급증하였으며 2024년 3월 말 기준 10kW 미만 태양광설비는 1,536만kW(336만 건), 10kW 이상 태양광설비는 5,787만kW에 도달함. 발전량 기준 전원구성에 차지하는 태양광 비중은 2011년 0.4%에서 2022년 9.2%로 대폭 증가하였음. 환경성은 태양광 폐패널 물량은 2030년대 후반부터 증가하여 최대 연간 5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추산함. 태양광설비의 폐기 처리에 대한 책임은 태양광발전사업자 및 해체사업자 등에게 있으며 적정한 처리가 .. 2024. 10. 10.
2024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전망 2024년 상반기 세계 석유시장의 수급은 2023년 4분기에 시작된 공급 과잉이 1분기까지 지속되다가 2분기 들어 수요가 공급을 약간 상회하며 초과 수요로 전환됨.1분기 세계 석유수급은 OPEC+(OPEC과 러시아 등 감산 참여국)의 추가 감산에도 불구하고 수요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된 가운데 미국 등 비OPEC+ 공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공급이 수요를 0.6백만b/d 상회함. 세계 석유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8백만b/d 증가한 101.3백만b/d를 기록했고, 석유공급은 전년 동기 대비      0.1백만b/d 감소(OPEC 1.3백만b/d 감소, 비OPEC 1.2백만b/d 증가)한 101.8백만b/d를 기록함. - 2분기 세계 석유수급은 3월 말 종료 예정이던 OPEC+의 추가 감산이 2분기.. 2024. 10. 10.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1011호, 2024.10.8) 10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무력 충돌 가능성으로 상승했으나, 중국의 경기회복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은 상승폭을 제한함. ∙이란이 헤즈볼라를 상대로 한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에 대한 보복으로 200여발의 탄도 미사일을 이스라엘로 발사하며 중동 지정학 리스크가 재차 고조됨(Reuters, 10.1, 10.2, 10.3).  이란의 공격은 이스라엘 내 주요 공군기지를 목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실제 이스라엘의 Nevatim 공군기지 활주로 및 격납고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이스라엘 사상자는 없는 것으로 전해짐. -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는 이번 이란의 공격을 "큰 실수"라고 지적하며 즉각적인 보복을 다짐했고 미국 백악관도 이스라엘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재확인함.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2024. 10. 10.
다양한 상황 상정해 비상시 에너지 수급 방안 마련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으로 중동의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정유사,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공사, 가스공사와 함께 석유‧가스 수급 상황과 국내외 유가 영향 등을 점검했습니다. 산업부는 현재까지 원유와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에 차질이 없고 운항 상황도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에너지 도입에 있어 중동 의존도가 높고 안정적 수급에 있어서도 이 지역의 중요성이 매우 큰 만큼 다양한 상황을 상정해 비상시 수급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4월 15일 오후 12시 현재 국제유가는 전 거래일 대비 0.31% 하락한 배럴당 90.17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편, 산업부는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이 시작된 직후 석유‧가스, 무역, 공급망 등 전 분야에 걸친.. 2024. 4. 19.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 및 산업 동향 분석 ▶ 재생에너지는 2022년 전 세계 발전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태양광 및 풍력의 전 세계 발전비중은 약 12%에 달하게 되었음. 2022년 세계 태양광 설치용량은 1,062GW가 되어 최초로 1,000GW를 넘어섰고, 육상풍력은 약 836GW, 해상풍력은 약 63GW가 설치됨. ▶ 육상풍력과 태양광은 2018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가장 저렴한 신설 발전원 지위를 유지 중으로, 이들의 글로벌 평균 LCOE는 MWh 당 42~48달러임. 이에 비해 석탄은 74달러/MWh, 가스는 92달러/MWh임. 해상풍력 발전비용은 2023년 상반기 기준 $74/MWh로 석탄과 동등함. ▶ 태양광과 풍력 모두 대형화를 통해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발전효율의.. 2024. 1. 22.
2023년 세계 에너지 효율 및 에너지 집약도 ▣ 에너지 효율 정책 확대에도 세계 에너지 집약도 성과는 둔화 ¡ 현재 정책결정자들은 에너지 효율에 상당히 집중하고 있으나 효율 개선도는 둔화하고 있음. ‒ 에너지 안보와 가격 적정성 강화,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에서 에너지 효율의 역할이 중요해짐. ‒ 그러나 2023년 추정 에너지 집약도 개선율이 2022년의 2%에서 1.3%로 떨어짐. ※ 에너지 집약도는 GDP 생산에 이용된 1차에너지의 양으로 정의되며, 에너지 효율 개선도 추적을 위한 주요 지표임. ‒ 또한, 2023년 에너지 수요가 1.7% 상승한 점을 통해서도 에너지 집약도 개선율 이 낮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2023년 세계 에너지 효율 개선도는 둔화되었으나, 에너지 위기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에너지 전환 및 효율 개선이 가속화되었음. .. 2024. 1. 22.
2024년 에너지수요전망(2023 하반기호) 가스 부문 소비 동향 2023년 상반기 천연가스 소비는 발전용과 가스제조용이 모두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 발전용은 2022년 4분기를 제외하고 2022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 도시가스제조용은 산업 생산 둔화 및 도시가스 요금 인상 효과 등으로 빠르게 감소함. 단, 천연가스 최종소비는 철강업을 중심으로 자가발전용 직도입 물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이상 빠르게 증가함. 도시가스 제조용 천연가스와 도시가스 최종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9%, 8.6% 감소함 용도별 천연가스 소비 및 증가율 추이 주: 최종소비는 철강, 석유화학, 비철금속업 등에서의 직도입 물량, 가스공사에서 산업단지에 직공급한 물량 등을 포함 발전용(발전전용+열병합) 가스(천연가스+도시가스) 소비는 경기 둔화로 전기.. 2024. 1. 22.
일본 정부, 녹색전환(GX) 대응 활성화 위한 정책 지원 움직임 일본 정부는 ‘GX(Green Transformation) 경제이행채’를 활용한 10조 엔 규모의 새로운 산업지원책을 제시하였음. ‒ 경제산업성은 향후 10년 간 탈탄소에 필요한 민관 투자 규모를 150조 엔으로 추산하였음. 이에 일본 정부는 탈탄소사회로 이행하기 위한 투자에 용도를 한정한 새로운 국채인 ‘GX경제이행채’를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음. ・ 일본 정부는 GX경제이행채를 2023년부터 10년 간 20조엔 규모로 발행하여 민간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장기간 지원이 가능함. ‒ 일본 정부는 GX경제이행채를 활용하여 철강 및 화학 등 제조업 에너지전환에 10년 간 1.3조엔, 수소 보급 확대를 위한 기존 연료와의 가격 차이 보조 및 거점 정비 등에 15년 간 3조엔, 차세대 재생에너지(페로.. 2024. 1. 16.
중국, 러시아산 석유, 석탄, 가스 수입 증가 2023년 중국의 러시아산 석유, 석탄, 가스 등 에너지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11월 러시아산 석유 수입량은 전년동기 대비 22.2% 증가한 9,746만 톤, 수입액은 550억 1,800만 달러를 기록하였음,1) ※ 2022년 중국 러시아산 석유 누적 수입량은 8,620만 톤, 수입액은 585억 달러를 기록함. ・ 2023년 1~11월 기준, 중국이 석유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러시아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7,997만 톤/500억 달러), 이라크(5,412만 톤/320억 달러)가 그 뒤를 이음. ‒ 2023년 1~10월 러시아산 석탄 수입량은 약 8,720만 톤으로 2022년의 수입량인 6,820만 톤을 이미 크게 넘어섬. ・ 러시아 국영송유기.. 2024. 1. 16.
중국 국무원, 대기질 지속 개선 행동계획 발표 ▣ 중국 국무원, 대기질 지속 개선 행동계획 발표 중국 국무원이 2025년까지의 대기질 개선 목표 및 방안을 담은 ‘대기질 지속 개선 행동계획’(이하 ‘행동계획’)을 발표함. ‒ 동 ‘행동계획’은 국무원이 발표한 ‘대기질 오염 관리 행동계획’, ‘푸른 하늘 지키기 3년 행동계획’에 이은 후속 정책임. ‒ 감축 대상 지역은 지급(地級, 우리나라의 市) 이상 도시이며, 중점 감축 대상 지역은 징진지 및 주변 지역, 장강 삼각주 지역, 펀웨이평원 등으로 ‘대기질 오염 관리 행동계획’에서보다 확대됨. ‒ 구체적 목표로는 2025년까지 ①초미세먼지(PM2.5) 농도 2020년 대비 10% 이상 감축, ②질소산화물(N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총 배출량 2020년 대비 10% 이상 감축, ③징진지(京津冀.. 2024. 1. 16.
유럽 이사회, 에너지 위기 때 도입된 긴급조치 시행 연장에 합의 ▣ 유럽 이사회, 에너지 위기 때 도입된 긴급조치 시행 연장에 합의 ¡ 유럽 이사회의 에너지 장관들은 2022년 에너지 위기로 인한 긴급 상황에 대비해 EU 기능조약 122조에 따라 채택한 3개 긴급조치 규정의 시행기간을 연장하는데 합의하였음. ‒ 해당 긴급조치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 상황에서 회원국 간의 연대를 강화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가속화하며, 높은 에너지 가격으로부터 역내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채택되었음. (연대 강화) 회원국의 가스 구매를 조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격 벤치마크 수립, 국경 간 가스 교역을 통해 연대를 강화하는 규정 2022/2576은 높은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가스 공급 안보를 개선하기 위한 임시 비상조치를 포함함. ‒ 유럽 이사회는 동 .. 2024. 1. 15.
중국, 신에너지차(NEV) 취득세 감면 기술요건 개정 ▣ 중국, 신에너지차(NEV) 취득세 감면 기술요건 개정 중국 공업정보화부, 재정부, 세무총국 등 3개 부처가 ‘신에너지차(NEV) 취득세 감면 기술요건 개정에 관한 공고’(이하 ‘공고’)를 통해 취득세 수령 요건을 강화함(2023.12.11.).1) ※ 신에너지차(NEV, New Energy Vehicle)은 순수전기차(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HEV),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포함됨. ※ 중국은 NEV 보급 확대를 위해 2014년부터 취득세 감면 정책을 시행함. 동 정책은 2017년과 2020년에 연장되었으며, 2022년 말에 폐지될 예정이었음. 그러나 2023년부터 구매보조금이 전면 폐지되.. 2024. 1. 15.
EU 전력시장 개편안, 3자(유럽 이사회, 유럽의회, 집행위) 협상 타결 * EU 전력시장 개편안, 3자(유럽 이사회, 유럽의회, 집행위) 협상 타결 유럽 이사회와 유럽의회가 EU 전력시장 개편안(Reform of Electricity Market Design)에 합의하면서 이에 대한 EU 집행위·이사회·의회 간 3자 협상이 타결됨 합의안은 두 기관의 승인 및 공식 채택을 거쳐 발효될 예정임. ‒ 지난 2023년 3월, EU 집행위는 에너지 위기 상황에서 화석연료 가격에 따라 전력가격 변동성이높아지는 EU 전력시장 설계의 결함이 드러났음을 강조하며,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화석연료 가격으로 인한 에너지 요금 변동성을 안정화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전력시장 개편안을 제안하였음. ‒ 기존 EU의 전력시장 설계구조인 급전순위 결정 체계(merit order system)는 가장 .. 2024. 1. 15.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와 세계 에너지 시장 변화 ▶ 2023년 OPEC+의 감산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자발적 추가 감산 및 감산 연장에도 불구하고 수요감소에 따른 여파로 국제 유가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됨. ▶ 2023년 10월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대한 다각적인 기습 공격을 감행하면서 단기 국제 유가의 급등을 초래하였으나, 현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인한 공급 중단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유가 상승 리스크가 제한적으로 나타남. ▶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배경으로 - 팔레스타인 자치 지구 주민들의 삶에 대한 분노의 표출과 저항 의식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절박함 - 본적인 팔레스타인문제 해결 없이 아랍 국가들과 이스라엘 간 평화협정 체결 확대에 대한 경종 등을 들 수 있음. ▶ 향후 전쟁 시나리오별 에너지 시장은 - 전쟁이 가자지.. 2024. 1. 15.
미 재무부, 더욱 엄격한 IRA 청정수소 생산세액공제 지급 기준(안) 발표 * 미 재무부, 더욱 엄격한 IRA 청정수소 생산세액공제 지급 기준(안) 발표 ¡ 미국 재무부(Department of Treasury)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의 청정수소 보조금 수령을 위해 수소 생산자가 충족해야 할 요건(guidance)을 발표하였음(2023.12.22.).1) ‒ 이번에 발표된 기준(안)은 세액공제(수소 1kg당 3달러) 대상을 수소 생산지역의 신규 청정에너지전력(풍력, 태양광 등)으로 생산된 수소로 제한함. ・ 신규 청정에너지 발전설비의 기준은 최근 3년 내에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규정됨. ・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용량 확대를 위해 투자한 경우도 청정에너지 전력에 포함됨. ‒ 또한, 수소 제조업자가 생산된 청정수소의 청정도를 입.. 2024.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