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중국의 2022년 주요 광물자원 매장 및 개발 현황
▶ 중국 자연자원부는 최근에 『2022년도 중국 광물자원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2022년 말 기준, 중국의 광물 자원(에너지 자원, 금속광물 자원, 비금속광물 자원)은 총 173종, 이중에서 매장량이 증가한 광물 자원 비중이 40%에 달했으며, 특히 구리, 납, 아연, 니켈, 구리, 리튬, 베릴륨, 갈륨, 게르마늄, 형석, 경질흑연 등의 매장량이 크게 증가함. ▶ 자원별·지역별로 매장량이 가장 풍부한 지역은 석유(간쑤), 석탄(산시(⼭西)), 천연가스·셰일가스(쓰촨), 랴오닝(철), 망간(광시), 텅스텐(장시), 니켈(간쑤), 형석(장시) 등임. ▶ 광물 자원에 대한 탐사·개발 투자액은 1,010억 2,2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3.8% 증가, 이 중 석유·가스 탐사·개발 투자액은 823억 8,700만..
2023. 12. 26.
중국 국가에너지국, 새로운 전력시스템 구축안 발표
▶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탄소피크·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하고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규모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전력시스템에 저장부문을 편입하는 내용의 ‘새로운 전력시스템 구축(안)’을 발표함. ▶ 현재 중국 전력시스템은 점차적으로 전력공급 능력이 향상되고, 저탄소 녹색전환이 가속화되며, 전력시스템 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전력기술 혁신이 확대되고 있음. ▶ 하지만 ▲일부지역 전력수급 불균형,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규모 급증에 따른 계통유연성 부족, ▲계통 안정성 부족, ▲기존 전력조정방식의 한계, ▲전력부문 핵심기술의 국산화 저조, ▲전력시스템 개혁 부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함. ▶ NEA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전력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총 3단계(▲2030년 이전, ▲2030~2045년, ▲..
2023.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