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nergy Korea with Daesung Energy

중국9

중국, 러시아산 석유, 석탄, 가스 수입 증가 2023년 중국의 러시아산 석유, 석탄, 가스 등 에너지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1~11월 러시아산 석유 수입량은 전년동기 대비 22.2% 증가한 9,746만 톤, 수입액은 550억 1,800만 달러를 기록하였음,1) ※ 2022년 중국 러시아산 석유 누적 수입량은 8,620만 톤, 수입액은 585억 달러를 기록함. ・ 2023년 1~11월 기준, 중국이 석유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러시아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7,997만 톤/500억 달러), 이라크(5,412만 톤/320억 달러)가 그 뒤를 이음. ‒ 2023년 1~10월 러시아산 석탄 수입량은 약 8,720만 톤으로 2022년의 수입량인 6,820만 톤을 이미 크게 넘어섬. ・ 러시아 국영송유기.. 2024. 1. 16.
중국, 신에너지차(NEV) 취득세 감면 기술요건 개정 ▣ 중국, 신에너지차(NEV) 취득세 감면 기술요건 개정 중국 공업정보화부, 재정부, 세무총국 등 3개 부처가 ‘신에너지차(NEV) 취득세 감면 기술요건 개정에 관한 공고’(이하 ‘공고’)를 통해 취득세 수령 요건을 강화함(2023.12.11.).1) ※ 신에너지차(NEV, New Energy Vehicle)은 순수전기차(B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HEV),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포함됨. ※ 중국은 NEV 보급 확대를 위해 2014년부터 취득세 감면 정책을 시행함. 동 정책은 2017년과 2020년에 연장되었으며, 2022년 말에 폐지될 예정이었음. 그러나 2023년부터 구매보조금이 전면 폐지되.. 2024. 1. 15.
중국의 2022년 주요 광물자원 매장 및 개발 현황 ▶ 중국 자연자원부는 최근에 『2022년도 중국 광물자원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2022년 말 기준, 중국의 광물 자원(에너지 자원, 금속광물 자원, 비금속광물 자원)은 총 173종, 이중에서 매장량이 증가한 광물 자원 비중이 40%에 달했으며, 특히 구리, 납, 아연, 니켈, 구리, 리튬, 베릴륨, 갈륨, 게르마늄, 형석, 경질흑연 등의 매장량이 크게 증가함. ▶ 자원별·지역별로 매장량이 가장 풍부한 지역은 석유(간쑤), 석탄(산시(⼭西)), 천연가스·셰일가스(쓰촨), 랴오닝(철), 망간(광시), 텅스텐(장시), 니켈(간쑤), 형석(장시) 등임. ▶ 광물 자원에 대한 탐사·개발 투자액은 1,010억 2,2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3.8% 증가, 이 중 석유·가스 탐사·개발 투자액은 823억 8,700만.. 2023. 12. 26.
중국 수출통제 대응, 수입의존 품목 공급망 점검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산업공급망 점검회의’를 개최해 갈륨과 게르마늄 등 주요 수입의존 품목의 공급망을 점검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날부터 갈륨,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회의에는 반도체협회, 디스플레이협회 등 업종별 협회와 소부장 공급망센터, 희소금속센터, 광해광업공단 등 유관기관이 참석했습니다. 정부는 여기서 중국의 수출 통제에 대응, 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수급동향을 상시 점검하고 수급 애로 발생 시 신속히 해결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소부장 공급망센터와 희소금속센터, 광해광업공단은 갈륨과 게르마늄을 포함한 주요 수입의존 품목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공급망 협의체를 운영하면서 ▲글로벌 수급동향 등 정보 공유 ▲비축 수요 조사 및 조달 ▲재자원화 및 대체‧저감 기술 개발‧지원 등에서 협.. 2023. 8. 8.
무역적자 규모 1월 이후 지속 감소 5월 수출이 조업일수 감소(1.5일), 정보기술(IT) 업황 부진, 역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2% 감소한 522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작년 5월 수출: 역대 월 기준 2위(616억 달러) 수입 또한 에너지 수입 감소 등으로 14.0% 줄어든 543억 4000만 달러였습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21억 달러 흑자를 보였습니다. 다만, 무역수지는 지난 1월 이후 계속해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월 수출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일반기계‧양극재 수출 증가, 반도체‧석유제품 수출 감소 - 자동차 수출 3개월 연속 60억 달러 이상, 양극재도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 유지 -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수출(-36.2%) 부진 지속 √ 주요 6대.. 2023. 6. 20.
2023년도 세계 가스 가격 및 수급 전망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가 對유럽 가스 공급을 크게 감축시키면서 세계 가스시장은 전례 없는 수급 불안 상황에 처했으며, 2022년 3분기에는 유럽과 미국 등에서 잇따라 가스 가격이 최고치를 경신하였음. ▶ IHS Markit, 미국 EIA, BNEF, ING 등 주요 기관들은 모두 2023년에는 대부분의 가스 시장에서 가격이 하락한 후 가스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음. ▶ (유럽) 2023년 유럽 지역의 가스 수요는 러-우 전쟁 이후 높게 유지되었던 에너지 가격과 유럽 내 국가들의 가스 수요 감축 정책으로 인해 감소할 것이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해 LNG 수입물량을 계속해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재기화(Regasfication) 설비 용량을 늘려나갈 계획임 ▶ (미국) 신.. 2023. 3. 3.
2022년 세계 석탄 수급 실적과 단기 전망(2025년) ▶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크게 감소했던 세계 석탄 소비가 2021년에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79억 2,900만 톤에 달하였음. 2022년에는 증가세가 1.2%로 둔화된 것으로 추정되나, 총 소비량은 80억 2,500만 톤에 달해 역대 최고 수준을 경신할 것으로 보임. ▶ 암울한 경제 전망에도 불구하고, 빠듯한 여건의 가스 시장과 높은 가스 가격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에서 석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22년 세계 석탄 공급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2023년에 정점에 달할 것이며, 2025년 석탄 생산량은 2022년 보다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 세계 석탄 교역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침체로부터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석탄 교역량이 13억.. 2023. 3. 3.
중국 국가에너지국, 새로운 전력시스템 구축안 발표 ▶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탄소피크·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하고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규모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전력시스템에 저장부문을 편입하는 내용의 ‘새로운 전력시스템 구축(안)’을 발표함. ▶ 현재 중국 전력시스템은 점차적으로 전력공급 능력이 향상되고, 저탄소 녹색전환이 가속화되며, 전력시스템 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전력기술 혁신이 확대되고 있음. ▶ 하지만 ▲일부지역 전력수급 불균형, ▲신재생에너지발전 설비규모 급증에 따른 계통유연성 부족, ▲계통 안정성 부족, ▲기존 전력조정방식의 한계, ▲전력부문 핵심기술의 국산화 저조, ▲전력시스템 개혁 부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함. ▶ NEA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전력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총 3단계(▲2030년 이전, ▲2030~2045년, ▲.. 2023. 3. 2.
중국, 석탄 수입 금년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감소 예상 중국, 석탄 수입 금년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감소 예상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 상반기 석탄 수입량은 약 1억 1천 5백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17.5% 감소하여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함.1) 이 중 6월 석탄 수입량은 약 1,898만 톤으로 전년동월 대비 33.1% 감소하였음. 중국 정부가 석탄 증산 및 석탄 가격 안정 정책을 시행하여 수입 석탄(해운) 가격보다 중국 내 석탄 가격이 낮아져 해외 석탄에 대한 수요가 감소했음. ‒ 또한, 대외적으로 코로나19, 악천후, 러·우 전쟁 발발 이후 석탄 수출 금지령 등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 몽골 등 주요 석탄수출국의 수출이 감소했음. 2022년 하반기에도 ▲중국 정부의 현행 석탄증산 및 가격안정 정책 기조 유지, ▲국제 석탄가격의.. 2022.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