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i79 일본의 2025년 에너지 수급 전망(IEEJ)1 ▶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이하 ‘IEEJ’)가 2025년도 일본의 경제・에너지수급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도 일본 경제는 내수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하여 5년 연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5년 1차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비중이 전년 대비 각각 3.5%, 12.7%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자급률은 17.7%로 증가, CO2 배출량은 전년 대비 1.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에너지원별로 살펴보면 에너지효율 대응 강화 및 연료 전환 등으로 석유제품은 전년 대비 감소하고 도시가스 및 전력은 자동차 및 전자기기 생산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2025년 발전량 기준 비화석에너지 발전원(원자력·재생에너지)은.. 2025. 2. 24. 중국 에너지법 제정과 시사 ▶ 중국은 세계 최대 에너지 생산국이자 소비국임에도 전력법, 재생에너지법과 같은 개별법은 존재하였으나, 이를 통합할 에너지 기본법이 오랫동안 부재하였음.▶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면서 경제가 급성장하자 에너지소비 규모가 급증하고 자급률이 급감하여 수급 불균형이 나타나자 에너지 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이 대두됨. ▶ 2006년에 에너지법 제정 작업에 들어갔으나 에너지부문의 방대한 내용과 문제점을 모두 통합해야 하고, 정부 기관, 업계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제정에 난관을 겪음. 그러나 2020년에 탄소피크·탄소중립 목표가 수립되면서 에너지법 제정이 가속화 됨. ▶ 2024년 11월 총 9장 80항으로 구성된 에너지부문 기본법인 ‘에너지법’이 제정되었으며, 2025년 1월 1일부터 정식 발효됨. ▶ ‘.. 2025. 2. 24.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둘째 주 국제 유가는 제재에 따른 러시아 생산량 축소 등 상승 요인과 미국 관세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세계 경제 둔화 우려 등 하락 요인이 교차하며 보합세를 나타냄.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제재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러시아는 원유생산을 축소해 대응할 것으로 전망됨(Reuters, 2.12).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 여파로 유조선이 부족하여 원유 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제시설 공격으로 자국 내 정제능력이 감소함. 익명의 러시아 석유기업 임원들에 따르면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단기적으로 9백만b/d 이하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재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량은 더욱 축소될 것을 전망됨. ※ IEA에 따르면 러시아는 2.. 2025. 2. 20. 국제유가 및 시장 동 2월 첫째 주 국제 유가는 미국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유예와 미·중 무역 전쟁 우려 등으로 하락했고, 미국의 이란 원유수출 관련 추가 제재 등은 하락폭을 제한함.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1일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25%(캐나다 에너지 10%), 중국 수입품에 10%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으나, 3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부과를 30일 유예함(Reuters, 2.3). -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는 미국 에너지 시장을 교란할 수 있으므로 유가의 상승 요인이지만, 미국의 보편 관세 확대는 세계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유가 하락 요인임. ※ 미국의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 정제량은 각각 380만b/d, 45.7만b/d로 전체 정제량의 1/4을 차지∙ 중국 정부는 미국의 중국에 대.. 2025. 2. 12. 이전 1 ··· 3 4 5 6 다음